요즘 뜨는 증시, 미국이 아니라 여기라고?


1. 중국 증시 열풍 이유와 전망 짚어보고
2. 목재에 25% 관세 부과하는 트럼프,
3. 전국 곳곳에 잇따른 폭설 피해,
4. 2026년 올림픽 후보 선정된 전주 소식까지 알아봐요.


뜨거운 중국 증시, 중국판 M7이 뜬다? 🇨🇳

요즘 중국 증시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는 얘기 들어본 적 있나요? 중국 기술 기업들이 주로 상장돼 ‘중국의 나스닥’이라고 불리는 항셍테크지수가 올해 들어 30% 상승했거든요. 반면 지난해 M7을 앞세워 가파르게 올랐던 미국 나스닥 지수는 올해 고작 1% 정도 오르면서 주춤하는 모습이고요. 그러자 미국 M7의 시대가 가고, 중국판 M7의 시대가 왔다는 말이 나와요.

M7이 뭐더라?: 애플·알파벳·테슬라·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메타·아마존 등 기술 혁신을 이끌어 온 미국의 주요 빅테크 기업 7곳을 묶어서 부르는 말이에요. 주가가 쭉쭉 올라서 ‘훌륭한’ 이라는 뜻의 형용사 ‘Magnificent’를 붙여 M7이라는 이름을 만들었어요.

중국판 M7?

홍콩 증시에 상장돼 있는 텐센트·알리바바·샤오미·비야디(BYD)·메이퇀·SMIC·레노버 등 7개 기술 기업이 그 주인공이에요. 미국 M7처럼 플랫폼 서비스와 소프트웨어(텐센트·메이퇀), 이커머스(알리바바), IT 디바이스(샤오미·레노버), 전기차(비야디), 반도체(SMIC) 사업을 하는 기업들이라 중국판 M7이라는 별명이 붙은 것. 여기에 지리차·바이두·넷이즈 등을 더해 ‘테리픽 10(Terrfic 10∙T10)’이라 부르기도 한다고: “엄청난(Terrific) 10개 대표 기업!”

중국 기술주에 이런 별명이 붙은 건 올해 들어 이들 기업의 주가가 거침없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알리바바가 68% 올랐고 샤오미는 30%, 비야디도 28%가 올랐다고.

갑자기 왜 잘나가는 거야?

다시 봤어 중국 기술력 🇨🇳🤖:
중국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이 재평가받고 있어요. 특히 딥시크의 AI 모델 발표 이후 투자자들이 “중국도 AI 기술 굉장한데?” 하고 다시 살펴보기 시작했다고.

정부가 팍팍 밀어줄게 🙌:
그동안 중국 정부는 국가 보안 등을 이유로 빅테크 기업을 강하게 규제했는데요. 얼마 전 6년 3개월 만에 민간기업 좌담회를 열어 기술 기업들의 대표들을 싹 불러 모았어요. 그러자 “정부가 빅테크 기업 지원하려고 하나 봐!” 분석이 나오며 중국 빅테크 기업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어요.

잠깐 쉬어가는 미국 증시 🇺🇸:
미국 증시는 지난 2년 동안 AI 열풍을 타고 급등했는데요. 현재 주가가 지나치게 올랐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어요. 이에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해 주가가 오르지 못했던 중국 기술주에 눈을 돌리고 있고요.

앞으로도 계속 오를까?

우리나라 투자자들이 이번 달 14일까지 약 1400만 달러(약 200억 원)어치 중국 주식을 사들이는 등 중국 증시를 좋게 보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앞으로 전망에 대한 의견은 갈려요:

올해는 중국 증시가 대세야 📈:
업계에서는 미국 기술 기업들을 따라잡을 수 있는 건 중국 기업들밖에 없다고 봐요. 그만큼 중국 기업들의 주가도 쭉쭉 오를 거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고요. 글로벌 투자은행들도 중국 증시의 목표치를 높여 잡고 있어요.

조금 더 지켜봐야 해 👀:
하지만 딥시크에 대한 보안 우려 등 아직 중국 기술에 대한 신뢰도가 낮고, 미국 기업들의 기술력이 압도적인 만큼 조금 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어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어떤 경제 정책을 펼칠지 불확실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하고요.

지난 주말 트럼프가 중국과의 투자를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 각서에 서명하자, 중국 기술 기업들의 주가가 우수수 떨어지는 일도 있었는데요. 전문가들은 주가가 크게 오르내리는 만큼, 중국 기술주에 신중하게 + 분산투자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해요.

중국의 역습, 우리나라 내수 시장도 흔들고 있다고? 👉 2025년 경제 키워드로 ‘차이나 쇼크’가 떠오른 이유


트럼프 대통령이 목재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에요. 🪵
백악관은 지난 1일(현지시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원목, 목재 수입에 대한 국가 안보 영향을 조사하라는 명령서에 서명했다고 밝혔어요. 미국의 안보를 해친다고 판단되면 특정 수입품에 관세 부과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 법(=무역확장법)에 따른 건데요. 여기에 한국산 싱크대가 해당한다고 알려졌지만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영향은 크지 않을 거라는 의견이 많아요. 대신 목재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캐나다를 압박하기 위한 거라는 분석이 나온다고.

전국 곳곳에 폭설이 내리면서 피해가 이어졌어요.
지난 3일 강원·경기·경북·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대설특보가 내려지면서 여객선 72척의 발이 묶이고 항공기 10편이 결항됐어요. 설악산과 태백산 등 국립공원 12곳의 일부 탐방로가 폐쇄되고 도로가 통제되기도 했는데요. 하룻밤 사이 50cm에 달하는 눈이 내린 강원 지역에서는 안전사고가 이어졌다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3일 새벽 중대본 1단계를 가동하고 대설 위기 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올렸어요.

전북 전주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후보 도시로 선정됐어요. 💪
전북특별자치도는 48년 만에 우리나라에서 하계 올림픽을 개최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와 유치 경쟁에 나섰는데요. 대한체육회 대의원 총회에서 모두의 예상을 깨고 전북이 61표 중 49표를 얻은 거예요. 올림픽 주최 경험과 인프라를 갖고 있는 서울시가 당연히 이길 거라는 예상을 뒤엎은 결과라고. 단독 개최를 내건 서울시와 달리 주변 도시와 함께 참여하는 ‘지방 도시 연대’ 전략을 세운 것이 통했다는 분석이 나와요.

👉 뉴닉 웹·앱에서 실시간으로 뉴스 보기 👈


#지식토스트 #지식토스트_모닝브리핑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