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은 집이고 사람은 사람이다" 건축가 조남호(下)

효효 2022. 10. 1. 12: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효효 아키텍트-145]

군 내무반이었던 인왕3분초(2020)는 산골짜기 한가운데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자리 잡고 있었다. 구조물 위에 목구조로 된 새로운 공간을 계획했다.

인왕산 숲속 쉼터 외관 [사진 제공 = 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인왕3분초 숲속 쉼터는 목구조의 전형적인 원리에서 벗어나 보이도록 했다. 철근콘크리트 필로티 기둥 모듈의 2분의 1 간격으로 목재 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에 지붕판을 끼워 넣는 형식이다.
인왕산 숲속 쉼터 실내 [사진 제공 = 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기둥에 의해 비워진 틈의 간접조명은 분리된 효과를 강조한다. 두껍고 커다란 지붕판이 주는 '무거운' 인상은 구축 방법의 차이로 마치 떠 있는 듯한 '가벼운' 인상으로 변환된다. 현대 목구조 건물은 콘크리트 구조를 기반으로 하기에 면과 덩어리(매스)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물질을 비물질로 보이게 하는 구축적 역설을 조남호는 '비결구적 결구'라고 표현했다.

내부의 목재는 집성목에 흰색 칠을 해서 공간적으로 넓어 보인다. 2021년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준공부문 대상을 차지했다.

광주 추사재(2016)의 출발은 광주에 소재한 한 대학교에서 법의학자로 재직했던 건축주가 퇴임을 앞두고 무등산 자락에 용지를 마련하면서 시작됐다. 그가 보유한 2만여 권의 책을 공유하는 것도 집을 짓는 중요한 이유였다.

인간을 포함한 세상의 모든 사물은 소멸하지만 위대한 사상과 지식은 텍스트로 남는다.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책은 그 자체로 수장고 역할을 한다. 텍스트와 더불어 강렬한 시각적 이미지 또한 남는다. 인간의 예술 활동은 살다 간 흔적의 몸부림이다.

광주광역시 추사재 서재 [자료 제공 = 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조남호가 처음 찾은 대지는 아파트 단지를 지나 숲으로 이어지는 산 자락 초입에 위치하였다. 용지는 평평하지만 주변은 경사와 함께 높은 나무들로 위요된 분위기였다. 건폐율 20% 이하의 조건은 집이 단순한 오브제로 보이게 하지만 숲으로 둘러싸인 마당은 충분한 공간감을 형성한다. 낮은 건폐율로 인해 주택은 3층 볼륨이 되었다.

지면으로부터 반 층 아래 있는 현관을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작은 다락이 있는 사랑방을 만난다. 반 층 더 내려가면 1.5층 높이의 서재에는 들어올려진 슬래브에 면해 설치한 고측창을 계획했다. 중간층인 1층에 침실을, 2층에 식당과 거실을 두었다.

경골목 구조와 가변성을 고려한 중목구조를 혼합한 2개층의 볼륨이 하부 구조로부터 수평띠창을 경계로 들어올려져 있다. 목구조 볼륨을 싸고 있는 경골목구조 외피는 다양한 폭의 동판 돌출이음으로 마감되어 세월이 더해감에 따라 숲에 동화될 것이다.

광주광역시 추사재 외관 [자료 제공 = 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집은 적어도 100년의 시간은 견딘다. 어느 집이든 은퇴 시점에 집을 지었다면 집의 주인은 바뀌게 마련이다. 조남호는 강하게 주장한다. "사는 사람과 집과의 관계를 묶어 놓으면 적절하지 못하다. 집은 집이고 사람은 사람이다."

힐튼 호텔, 저층부 아트리움과 커튼윌 시스템 보존해야

지난 1일, 마주 앉자마자 다음 질문을 던졌다. "건축가님 정도 되면 건축과 사회 관련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내야 되지 않습니까."

조남호 건축가의 첫마디는 자산운영사에 매각된 힐튼호텔(1983년 준공)이었다. "최우선 되어야 하는 게 전체 건축계가 어떤 입장이냐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힐튼호텔과 유사한 상황을 맞이했던, 보존 논의가 필요한 수많은 기회에서 건축계는 무력했고 사회적 공론화를 이끌지 못했다."

"힐튼호텔은 보존이든 개발이든 결론을 내어야 되는 건입니다. 결론에 이르는 논의 과정 자체가 대단히 중요합니다."

서울 남산 자락의 밀레니엄 힐튼 호텔이 건축계에 중요한 이유는 설계자인 김종성(1935~)과 그의 스승인 세계 모더니즘 건축의 선구자 미스 반데어로에 (1886~1969·이하 미스) 때문이다.

김종성은 1961년부터 1972년까지 미스 건축사무소 소속으로 캐나다 토론토 도미니언 센터 프로젝트 등에 참여했다. 미스는 독일 바우하우스 마지막 교장을 지낸 모더니즘 주창자로 르 코르뷔지에(1887~1965),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1867~1959)와 더불어 '근대 건축 3대 거장'이다.

조남호는 '하나의 건축물로서가 아니라 양동 정비지구라는 복합적인 도시적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 '저층부 아트리움과 입면에서 보이는 세계적 수준의 커튼월 시스템의 보존을 전제로 한 증축'을 제안한다.

청와대 활용 문제에 있어서도, "방향이 명확해야 되고, 결정 과정은 시민과 전문가가 참여하는 아이디어 공모 포럼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전제한 뒤 구체 안을 내놨다. "옥외공간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다면 지하공간을 적극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 북악산과 경복궁 사이의 장소성, 시민들의 활동,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시간성을 고려한 결정이 되어야 한다"

조남호는 근현대의 건축 자산에 대해 '원형의 보존보다는 가치 있는 부분을 보존하면서 적극적인 활용을 모색한다'는 입장이다.

건축가가 어떤 건축언어와 사상을 가져야 하느냐는 중요하지 않으나 사회 현상에 대해 항상 사고가 열려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만 "다양한 외부적 담론도 물리적인 구축을 통해서만이 건축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고 본다. "좋은 건축은 의도하는 바가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구현되었는지가 우선"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프리랜서 효효]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