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열대 어장' 된 독도 해역‥오징어 없고 열대어 '수두룩'

차현진 2024. 10. 4. 07: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투데이]

◀ 앵커 ▶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독도 바다는 대표적인 황금어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기후변화로 수온이 오르면서 독도 바다가 점차 아열대 바다로 바뀌고 있다고 합니다.

차현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국립생물자원관 조사선이 거센 물살을 가르며 독도 앞바다로 향합니다.

공기통을 들쳐매고 물에 들어갈 채비를 마친 잠수부.

물속 20미터 안으로 들어갑니다.

MBC 취재팀도 함께 했습니다.

얼룩무늬에 기다란 지느러미가 특징인 쏠배감펭, 열대 바다의 포식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푸른빛을 띠며 무리 지어 다니는 파랑돔과 검은 점에 노란 옷을 입은 노랑거북복까지.

10여 년 전엔 보기 드물었던 열대어들이 수시로 목격됩니다.

기후변화지표종으로 지정된 연무자리돔은 아예 수백 마리가 떼로 다니는 모습이 독도 바다에선 처음으로 포착됐습니다.

[김병직/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 "가장 두드러진 게..연무자리돔의 유어가 굉장히 많이 늘어났다라는 거 한 3x3 정도 면적에 분포된 게 4백, 5백 마리 정도 있을 정도니까요."

대신 기존의 한류성 어류와 온대성 물고기는 거의 자취를 감췄습니다.

실제로 나흘간 독도 바다에 사는 물고기들을 조사한 결과 80여 종 가운데 70% 이상이 열대·아열대성 어류인 걸로 확인됐습니다.

새롭게 발견된 14종 가운데엔 무려 13종이 난류성 어종이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온 상승이 수백, 수천 년간 이어져 온 해양생태계 균형에 균열을 내고 있습니다.

특히 독도와 울릉도 바다는 변화 속도가 더 빠릅니다.

표층 온도가 28도가 넘는 고수온 현상은 작년에 평년의 5배인 17.6일에 달했고, 올해는 이보다도 열흘가량 더 늘어날 걸로 보입니다.

[김윤배/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대장] "북서태평양 전체를 보고 있는 일본 측 자료에서도 우리 동해 특히 동해 울릉도 독도를 중심으로 동해 북부 해역이 우리 북서태평양 해역에서 가장 빠르게 아열대화 내지는 열대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독도 바다의 급격한 생태 변화는 우리에게 닥친 기후재난의 위험도 그만큼 강력할 거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차현진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차현진 기자(chacha@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today/article/6642861_36523.html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