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량 수입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 국산화 눈앞..효과도 탁월

김건우 기자 2022. 9. 28. 09: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인수 이노셉 대표는 최근 머니투데이와 인터뷰에서 "호남지역 혈액투석센터와 협력해 새로운 멤브레인을 적용한 혈액여과기를 선보일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국내에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를 출시한 뒤 미국, 중국 인허가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향후 환자의 삶의 질 개선과 비용 절감을 위해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투석기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니밸리-광주과학기술원 3-2]K-테크 스타트업 왕중왕전 결선팀-이노셉
김인수 이노셉 대표/사진제공=이노셉


"미국, 독일, 일본 등에서 전량 수입하는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 시험생산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국제 특허 등록을 통해 기술 진입장벽을 높이고, 올해 4분기 프리 시리즈A 투자유치를 한 뒤 2024년 국내 출시를 준비할 계획입니다"

김인수 이노셉 대표는 최근 머니투데이와 인터뷰에서 "호남지역 혈액투석센터와 협력해 새로운 멤브레인을 적용한 혈액여과기를 선보일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노셉은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인 김 대표가 지난해 9월 설립한 교원창업기업이다. GIST로부터 △복합소재 이온교환막 제조기술 △막분리 모듈의 유량 균등 배분장치 및 정삼투 기반 투석액 재생장치 기술 △착용형 인공신장 장치 기술을 이전 받아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와 정수장치 등을 개발하고 있다.

김 대표는 국내 분리막 기초과학 및 응용공정의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 약 360편의 국내외 SCI(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 논문과 30여건의 특허를 등록했다. 역삼투 분리막 기반 해수담수화 국책연구사업단장을 맡았고, 현재 글로벌 담수화연구센터 센터장도 역임하고 있다.


혈액여과기는 신부전 환자들의 신장을 대신해주는 기기로, 멤브레인을 이용해 혈액에서 요독 물질과 노폐물, 전해질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신부전 환자들에게 꼭 필요한 제품이지만 국내는 유럽 등으로부터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다. 지난해에만 9073만 달러(약 1297억원) 규모의 혈액여과기가 수입됐다. 국내 의료 관련 수입품목 5위 수준이다. 국내에선 연간 2000~2300만개의 혈액여과기가 사용된다.

혈액여과기에는 속은 비어있고 벽면은 미세한 구멍으로 돼 있는 중공사 분리막(이하 중공사막)이 사용된다. 혈액이 중공사막 내부를 통해 흐르면 멤브레인에서 요독 등이 배출되는 구조다. 하지만 기존 혈액여과기는 저분자의 요독 제거에는 효과적이나 중분자와 큰중분자 요독물질 제거에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혈액투석을 받더라도 체내에 중분자, 큰중분자 요독물질이 쌓이면 감염 및 심혈관계 합병증이 생긴다. 그렇다고 멤브레인의 기공 크기를 크게 하면 인체에 필요한 단백질이 함께 제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노셉이 개발한 혈액여과기에 사용되는 중공사막


이노셉이 개발한 중공사막은 자체 테스트에서 글로벌 기업 2곳의 고유량(High Flux), 미디엄 컷 오프(MCO) 방식의 멤브레인과 비교해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는 지난 5월 '한외여과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국내 특허를 출원했고, 이달 2건의 국제 특허(PCT)를 출원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고집적화 중공사 멤브레인 필터의 두께(35μm) 및 유효막 면적 제조기술을 확보했다"며 "나노소재 복합체 제조를 통해 투과도 상승과 알부민 손실 최소화를 위한 기공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이중막 외부층 안쪽에도 나노소재를 적용해 단백질 결합 요독 흡착을 유도한다"고 말했다.

이노셉은 보유 기술로 2023년 인공신장기용 정수장치부터 출시할 계획이다. 또 2024년 High Flux 멤브레인, 2028년 MCO 멤브레인의 국내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4분기 파일럿 생산설비를 위한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 뒤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인증, 양산 및 자동화 시설 구축 등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국내에 인공신장기용 혈액여과기를 출시한 뒤 미국, 중국 인허가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향후 환자의 삶의 질 개선과 비용 절감을 위해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투석기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관련기사]☞ 돈스파이크 '마약'에 오은영 진단 재조명…"자폐 아냐, 자극에 예민"'하하♥별' 막내딸, 희귀병 투병…"제대로 서지도 걷지도 못했다"프리지아, 방 5개 숲뷰 '70평대' 이사…드레스룸엔 명품백 가득'손예진 닮은꼴' 이광기 딸, 아빠 호칭 안 부르는 이유BTS 뷔 "솔직히 마음 아픈 일 있다"…부산 콘서트 언급, 왜?
김건우 기자 jai@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