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절반은 5060 男...20대 고독사 10명 중 6~7명은 자살
지난 2년간(2022~2023년) 우리나라 고독사 사망자 중 절반 이상은 50·60대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기간 20대 고독사 사망자 10명 중 6~7명은 자살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보건복지부는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22~2023년 2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고독사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2022년 고독사 사망자는 3559명, 2023년 3661명으로 가장 최근 조사인 2021년(3378명)보다 다소 증가했다. 복지부는 고독사 사망자 수가 증가한 원인으로 1인 가구 증가와 고독사의 법적 정의 확대를 꼽았다. 2022년 조사 당시 고독사의 법적 정의는 ‘홀로 사는 사람이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발견되는 죽음’이었으나, 법 개정 이후에는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사회적 고립 상태로 생활하던 사람이 임종하는 것’으로 범위가 넓어졌다는 것이다.
반면,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 100명당 고독사 사망자 수는 2022년(0.95명), 2023년 1.04명으로 2021년(1.06명)보다 줄었다. 또 최근 5년간(2019~2023년) 고독사 사망자의 연평균 증가율은 5.6%로 실태 조사를 처음 시작한 이후 5년간(2017~2021년)의 연평균 증가율(8.8%)보다 낮아졌다.
고독사가 많이 발생한 지역은 경기(2022년 749명·2023년 922명), 서울(678명·559명), 부산(317명·287명) 등 순이었다. 가장 적게 발생한 지역은 세종(11명·8명)이다. 이는 대체로 인구가 많은 지역과 일치한다는 것이 복지부의 분석이다.
성별로는 남성 사망자(2023년 기준 84.1%)가 여성 사망자(15.9%)보다 5배 이상 많았다. 연령별로는 60대가 가장 많은 1146명이었고, 이어 50대(1097명), 40대(502명), 70대(470명) 등 순이었다. 특히, 50·60대 남성 고독사는 2022년 54.1%, 2023년 53.9%를 차지했다.
고독사가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 주택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주택에서 발생한 고독사는 전체의 48.1%였다. 이어 아파트(21.8%), 원룸·오피스텔(20.7%), 고시원(3.9%), 여관(3.7%) 등 순이었다. 가족(2023년 기준 26.2%)보다는 임대인·경비원·건물관리자(34.5%)가 고독사의 최초 발견자인 경우가 더 많았다.
고독사 사망자 중 자살의 비율은 2022년 13.9%, 2023년 14.1%로 2021년(16.9%)보다는 줄었다. 나이가 어릴 수록 전체 고독사 중 자살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2022년 20대 고독사 사망자 중 71.7%가, 30대 고독사 사망자 중 51%가 자살했다. 2023년의 경우, 각각 59.5%, 43.4%였다.
전체 고독사 사망자 중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중은 2022년 39.7%, 2023년 41.4%였다. 복지부는 “이는 경제적 취약 가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과 고독사가 경제적 취약 가구에 한정되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동시에 보여준다”고 밝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리은행, 기업대출에 급제동... 조병규 행장 “전략 변화에 사과드린다”
- “곧 상장·수익률 337%” 사기로 89억 챙긴 금융업체 대표 등 기소
- [단독] 김용 ‘구글 타임라인’, 돈 받았다 지목된 날 동선과 2㎞ 오류
- 통아저씨 가정사 고백… “친모, 시아버지 몹쓸 짓에 가출”
- ’허위 인터뷰 의혹’ 구속된 김만배, 법원에 보석 청구
- 롯데하이마트, 3분기 영업익 312억원 “5년 뒤 1000억원대 목표”
- 총선 불법 선거운동 혐의…박용철 강화군수, 첫 재판서 “선거운동은 아니다” 부인
- 평창서 사이드브레이크 풀린 레미콘에 치인 60대 숨져
- 규정속도보다 시속 80㎞이상 과속한 초과속 운전자 102명 적발
- [오늘의 운세] 11월 3일 일요일(음력 10월 3일 辛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