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와인] ‘어머니라는 이름으로’ 샴페인 드모아젤 드 리에쥬 테트 드 뀌베
한 사회가 여성을 대하는 태도를 알고 싶다면
술잔 밑바닥을 들여다보라.
맬러리 오마라, 영화 제작자·작가
술에는 유리천장이 없다.
유구한 주류(酒類) 역사를 보면 오히려 여성이 맡은 역할이 더 컸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중요하다 싶은 술 역사 변곡점에는 속속 여성이 등장한다.
고대 여성들은 직접 술을 만들고 즐겼다. 메소포타미아 수메르 문명과 이집트 문명에는 이를 기리기 위한 술의 여신 닌카시와 하토르가 있었다. 이들은 그리스·로마 신화 속 술과 유흥의 신 디오니소스보다 먼저 역사에 등장했다.
중세에는 수녀들이 있었다. 이들은 수녀원에서 빼어난 와인이나 맥주를 빚었다. 근대 들어선 예카테리나 2세가 러시아를 지금 같은 보드카 제국으로 올려놨다.
현대에도 걸출한 여성들이 주류 문화를 이끌고 있다. ‘와인의 여왕’이라 불리는 잰시스 로빈슨은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와인 평론가다. 현존하는 와인 가운데 가장 비싼 와인으로 꼽히는 도멘 르루아(Leroy)는 랄루 비즈-리로이(Lalou Bize-Leroy)라는 노파가 만든다.
샴페인도 다르지 않다. 샴페인은 프랑스를 넘어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스파클링 와인이다. 샴페인이라는 이름은 오로지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 만드는 스파클링 와인에만 붙일 수 있다. 가격과 인지도 면에서도 다른 스파클링 와인을 압도한다. 샴페인에서 피어오르는 거품은 곧 기품(氣品)이다. 그 자체로 승리를 상징한다.
샴페인이 독보적인 성공을 거둔 배경에는 여성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널리 알려진 샴페인 하우스 뵈브 클리코 경영자 바브(Barbe) 니콜 폰사르댕 여사는 우리가 아는 샴페인 기초를 최초로 정립했다.
그는 샴페인에서 효모 찌꺼기를 제거하는 푸피트르(pupitres)를 개발했다. 푸피트르 개발 이전까지 샴페인은 탁했다. 익히 알려진 황금빛 투명함 속에 잔잔한 거품이 올라오는 샴페인은 푸피트르 개발 이후 나타났다. 유독 작황이 좋았던 한 해 포도만 골라 빈티지(vintage) 샴페인을 처음 만들기 시작한 인물도 폰사르댕 여사다.
루이스 포므리 여사도 빼놓을 수 없다. 150여년 전까지 샴페인은 설탕을 녹인 술에 가까웠다. 샴페인은 양조 기법상 효모 찌꺼기를 빼낸 다음, 당분을 인위적으로 보충한다. 19세기 중반까지 보통 샴페인 1리터에 적게는 100그램에서 많게는 300그램까지 당분이 들어갔다.
1874년 포므리 여사는 과감하게 당분 보충량을 이전 대비 3~4% 수준으로 줄였다. 단맛으로 샴페인을 마시기보다 숙성한 샴페인 원액 맛과 향을 살리기 위한 결정이었다.
포므리 여사가 처음 시도한 브뤼(brut) 스타일 샴페인은 최대 당도가 1.2%에 그친다. 이전까지 300그램이 들어갔던 당분이 최대 12그램 밖에 들어가지 않는다. 소비자들은 설탕 맛이 고유한 풍미를 가리지 않은 포므리 샴페인에 열광했다.
이후 다른 샴페인 하우스들이 일제히 그 뒤를 따랐다. 지금은 브뤼 스타일 샴페인과 이보다 더 적은 당분을 넣은 브뤼 나튀르(brut nature) 스타일 샴페인이 전체 샴페인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0%를 넘는다.
브랑켄은 폰사르댕 여사와 포므리 여사가 닦아 놓은 여성 샴페인 명인(名人) 계보를 잇는 샴페인 하우스다. 샹파뉴 지역에서는 샴페인을 만드는 양조장을 샴페인 하우스라 부른다.
기존 샴페인은 보통 식사 후 디저트와 함께 마시는 경우가 잦았다. 브랑켄을 이끄는 나탈리 브랑켄 여사에게 샴페인은 식사를 마치고 즐기는 디저트 이상의 존재였다. 그는 본격적으로 음식이 나오기 전 식전주부터 샴페인과 함께하길 원했다.
1985년 처음 출시한 드모아젤 드 리에쥬 테트 드 뀌베는 브랑켄 브랜드를 상징하는 샴페인이다. 브랑켄 여사는 샤르도네라는 포도 품종 사용량을 80%로 높여 산뜻한 풍미와 우아함을 강조했다. 과한 탄산이 음식 맛을 해치지 않도록 압력도 일부 조절했다. 40여년 전으로선 파격적인 시도였다.
브랑켄 여사는 남다른 맛을 소비자가 쉽게 알아차릴 수 있도록 병 모양을 새로 디자인했다.
그는 샴페인이 단순히 술을 넘어 예술 작품과 같은 반열에 올라야 한다고 여겼다. 드모아젤 병은 브랑켄 여사가 심취했던 19세기 아르누보(Art Nouveau) 양식을 접목해 화려하게 장식했다.
브랑켄 여사는 조선비즈에 “아르누보 예술가들은 일본 예술에서 영감을 받아 꽃과 나무 같은 자연물을 소재로 많이 사용했다. 우리도 그런 아름다움을 샴페인에 담아내려 했다”며 “예술적으로 디자인한 제품을 더 많은 사람이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 목표”라고 말했다.
드모아젤은 첫 모금에 과일 향이 은은하게 퍼지고, 곧이어 깊고 풍부한 맛이 입안을 채운다. 부드러운 기포가 목 넘김을 더욱 편안하게 해주는 동시에 잔잔한 여운을 남긴다. 화이트 와인에 가까운 깔끔함과 풍미를 살려 식전주로 즐기기 좋다고 와인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이 와인은 2024 대한민국 주류대상 스파클링 와인 부문 대상을 받았다. 수입사는 금양인터내셔날이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대차가 공들이는 인도… 벤츠·BMW도 적극 공략
- [체험기] 애플 인텔리전스, AI가 영문 기사 요약·사진 편집… “늦게 나왔는데 특별한 건 없네”
- [인터뷰] AI로 심혈관 치료하는 의사 “환자 비용과 의료진 부담 동시 줄인다”
- 올해 개미 평균 31% 손실 … 남은 두 달, 반전 가능할까
- [르포] 수출액 10억불 넘긴 ‘K라면’… 농심, 도심 속 라면 축제 개최
- [실손 대백과] 치료·수술 사용 ‘치료재료대’ 보험금 받을 수 있다
- [과학영재교육 갈림길]② 의대 준비하러 대학 일찍 간 과학영재들, 조기진학제 손 본다
- [단독] 삼성전자, P2·P3 파운드리 라인 추가 ‘셧다운’ 추진… 적자 축소 총력
- [단독] 서정진 딸 관련 회사 과태료 미납, 벤츠 차량 공정위에 압류 당해
- [단독] ‘레깅스 탑2′ 젝시믹스·안다르, 나란히 M&A 매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