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발생한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탈선 사고와 관련해 해당 열차를 운전한 기관사가 직위해제 조치 된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공사는 이날 오전 열차를 운행하다 정지신호를 위반해 결국 탈선 사고를 낸 기관사 A씨를 직위해제했다.
공사 관계자는 "사고 원인 등 본격적인 조사를 위해 해당 열차를 운행한 기관사 등을 즉각 직위해제했다"며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 중"이라고 했다.
공사는 기관사 A 씨 외에도 이번 사고와 관련한 이들에 대한 직위해제 조치를 검토 중이다.
앞서 전날 오전 7시50분쯤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승강장에서 출고된 열차가 탈선해 2호선 외선 홍대입구역부터 서울대입구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9시간 넘게 전면 중지됐다.
공사는 사고가 발생하자 초기대응팀과 사고수습본부를 가동하고 복구 인력을 투입, 오후 4시26분쯤 사고에 대한 복구를 완료했다. 오후 5시 30분부터 2호선 전 구간 열차 운행이 재개됐다.
당초 공사는 이번 사고 원인에 대해 '차막이 추돌'이라고 밝혔으나 조사 결과 산정 차량기지에서 출고된 열차가 신도림역 4번 승강장에서 정지신호를 위반하고 진행해 정지표지(선로 끝)를 지난 후 탈선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사 관계자는 "이번 사고는 시스템적인 오류 등이 아니라 기관사의 실수라고 판단된다"며 "인적‧시설‧시스템 오류 등 정확한 사고 발생 경위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공사는 이번 사고 여파로 열차 운행에 차질을 빚은 2호선 홍대입구역~서울대입구역 12개 역에 이날 첫차 전 사과문 부착을 완료했다.
향후 공사는 승무원들의 인적오류를 예방하고 열차 안전운행을 확보하기 위해 개인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1대1 교육을 시행하고, 유사한 사례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개소를 선정해 중점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전날 오전 7시50분쯤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승강장에서 출고된 열차가 탈선해 2호선 외선 홍대입구역부터 서울대입구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9시간 넘게 전면 중지됐다.
공사는 사고가 발생하자 초기대응팀과 사고수습본부를 가동하고 복구 인력을 투입, 오후 4시26분쯤 사고에 대한 복구를 완료했다. 오후 5시 30분부터 2호선 전 구간 열차 운행이 재개됐다.
당초 공사는 이번 사고 원인에 대해 '차막이 추돌'이라고 밝혔으나 조사 결과 산정 차량기지에서 출고된 열차가 신도림역 4번 승강장에서 정지신호를 위반하고 진행해 정지표지(선로 끝)를 지난 후 탈선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사 관계자는 "이번 사고는 시스템적인 오류 등이 아니라 기관사의 실수라고 판단된다"며 "인적‧시설‧시스템 오류 등 정확한 사고 발생 경위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공사는 이번 사고 여파로 열차 운행에 차질을 빚은 2호선 홍대입구역~서울대입구역 12개 역에 이날 첫차 전 사과문 부착을 완료했다.
향후 공사는 승무원들의 인적오류를 예방하고 열차 안전운행을 확보하기 위해 개인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1대1 교육을 시행하고, 유사한 사례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개소를 선정해 중점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48815?sid=102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