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끝나도 50년이나 남았는데”…은퇴족에 명함 꼭 챙기라는 이 남자

이향휘 선임기자(scent200@mk.co.kr) 2024. 10. 17. 10: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꽁지머리를 한 빅데이터 전문가.

명함엔 송길영 이름 석자만 있다.

"오래 전부터 제가 이런 말을 했더라구요. 내 소망은 명함에서 이름만 남기는 것이라고. 그 욕망이 지금의 저를 만들었나 봅니다."

"퇴직한 많은 분들이 지루해 해요. 뭣보다 일을 안하면 자존이 떨어진다고 얘기하죠. 과거 명함이 아니라 지금을 만들 수 있는 작업을 해야 삶의 의미를 찾아갈 수 있지요."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스트셀러 ‘호명사회’ 저자 송길영 씨
빅데이터 전문가로 30년 활약
직장인 삶 마치고 작가로 전향
은퇴 후에 50년 더 사는 시대
개인의 내공·스토리 중요해져
홀로설 수 있는 이름값 키워야
시대예보-호명사회 송길영 작가. [김호영 기자]
꽁지머리를 한 빅데이터 전문가. 명함엔 송길영 이름 석자만 있다. 조직도 직책도 없다. 시대의 마음을 캔다고 해 자신이 직접 명명한 ‘마인드 마이너(Mind Miner)’라는 직업이 붙어 있을뿐. 뒷면엔 그를 단숨에 출판계 대어로 올려놓은 키워드 ‘시대예보’라는 네 글자가 굵게 박혀 있다.

지난해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로 큰 반향을 일으킨 그가 이번엔 ‘호명사회’라는 화두를 던지며 돌아왔다.

최근 서울 중구 매일경제신문을 찾은 그에게 특정 머리 스타일을 고수하는 이유를 묻자 “20년 전부터 이 머리다. 남들이 나를 알아보는데 에너지를 줄여주고 싶다”고 했다.

그가 우리 사회 집단주의를 거부하는 주체적인 개인들에게 ‘핵개인’이라는 이름을 불러주자 숨어 있던 핵개인들이 대거 나타났다. 책도 15만부가 팔렸다.

“젊은 독자분들이 ‘이건 예보가 아니라 중계다. 지금 내 얘기’라며 공감을 해줬어요. 평소 느끼던 것에 이름을 지어주면 사람들이 안온함을 느끼죠. 공감할 수 있는 키워드를 제시하면 수용성이 높아집니다.”

1년 만에 다시 낸 ‘시대예보: 호명사회’(교보문고 펴냄)도 출간되자마자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랐다.

“인공지능(AI) 시대 자동화의 물결로 장인의 시대가 다시 도래할 겁니다. 누가 만들었는지 그 사람의 공력과 퍼스널 스토리를 더 따지죠. 이젠 ‘나의 이름’이 더 중요해지고 모두가 작가가 돼야 하는 시대입니다.”

아티즌, 즉 장인이 대우받는 시대는 산업혁명 이후 기계에 밀렸던 공방의 부활을 뜻한다. “파타고니아 같은 대기업은 지구 환경을 이야기하며 가치의 층위를 올리죠. 작은 기업은 독특한 공방처럼 움직일 거예요. 중간 기업은 애매한데, 선택을 해야하는 갈림길에 몰릴 겁니다.”

개인 역시 ‘나의 이름’을 찾는 것이 인생의 숙제이자 생존법이 됐다.

“넷플릭스 ‘흑백요리사’에서 진정성을 가지고 쟁투를 벌이듯이 개인들이 끝없이 경쟁해야 하는 ‘경쟁 인플레이션’이 벌어지죠. ‘선발’ 시스템이 무너진 것도 무한경쟁을 촉발하죠. 계속 자신을 발전시켜야 하고 이로 인해 불안 심리도 커질 수밖에 없어요.”

새 책 ‘시대예보-호명사회’를 출간한 베스트셀러 작가 송길영. [김호영 기자]
그는 “정년 마쳐도 남은 기간이 50년”이라며 “나이가 많으면 피고용이 안되기 때문에 두번째, 세번째는 본인이 주도하는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역시 작년에 책을 내자마자 30년 직장인의 삶에 마침표를 찍었다. 다음소프트 재직 시절에도 늘 홀로서기를 꿈꿔왔다.

“오래 전부터 제가 이런 말을 했더라구요. 내 소망은 명함에서 이름만 남기는 것이라고. 그 욕망이 지금의 저를 만들었나 봅니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본진을 찾고 그것을 꾸준히 추구하다보면 언젠가는 인정을 받는 때가 온다고 믿는다. “많은 분들은 결과가 즉시 안 나오면 서운해하죠. 하지만 누군가는 그 진지함과 질(quality)을 지켜보고 있어요.”

우리 시대를 설명하는 단 하나의 키워드는 어떻게 정하는 걸까.

“공부하는 ‘도반’들과 계속 논의하고 토론하면서 글을 써요. 이 글들을 계속 늘어놓고 배열하면서 전체 흐름이 보이고 줄기를 찾지요. 책을 거의 다 쓴 상태에서 마지막에 제목을 정하죠.”

노후가 준비된 사람에게도 일은 필요할까.

“퇴직한 많은 분들이 지루해 해요. 뭣보다 일을 안하면 자존이 떨어진다고 얘기하죠. 과거 명함이 아니라 지금을 만들 수 있는 작업을 해야 삶의 의미를 찾아갈 수 있지요.”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