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 벌어 1년 먹고살았는데...휴가철 앞둔 밀양은 지금?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
밀양 펜션 예약 문의 없어
국민적 공분 지역 혐오로 번져
최근 20년 전 경남 밀양시에서 발생한 집단 성폭행 사건의 일부 가해자들이 유튜버들에게 재조명되며 논란이 된 가운데, 밀양 지역 전체를 비난하는 반응이 이어지며 밀양시 등 지역 단체들이 대국민 사과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이달 초부터 유튜브를 비롯한 온라인 공간 내에서 지난 2004년 발생한 밀양 집단 성폭행 사건 가해자들의 신상과 근황이 공개되며 논란이 퍼졌다. 특히 밀양시청 홈페이지에는 가해자를 향한 비난을 넘어 밀양 지역 전체에 대한 비난과 혐오를 조장하는 글이 올라오는 등 밀양시 전체를 향한 시민들의 분노가 표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밀양시청 홈페이지 ‘시민의 소리’ 게시판에는 “밀양에 가지 않겠다”, “밀양 농산물을 사지 않겠다”라고 밝히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밀양 성폭행 사건을 둘러싼 논란이 관광 및 소비 거부 운동으로까지 번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상황에 밀양시와 지역 사회단체 및 종교계는 피해자와 가족, 국민을 향한 공식 사과를 전했다.
밀양시는 지난 25일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에 대해 모든 국민께 깊은 사과의 뜻을 전한다고 밝히며 고개를 숙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안병구 밀양시장을 비롯한 시의회와 80여 개 시민단체가 참석한 가운데 안 시장이 대표로 사과문을 낭독하며 피해자와 그 가족들 그리고 상처받은 모든 국민에게 깊은 사과의 뜻을 전했다.
특히 이번 공식 사과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자신의 임기가 아닌 수십 년 전 사건에 대해 사과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매우 이례적인 경우에 속했다. 안병구 시장은 밀양 성폭행 사건의 재조명과 함께 피해자의 인권이 또다시 위협받는 상황에 책임을 통감했다고 밝혔다.
이어 안병구 시장은 "아이들을 잘 가르치고 올바르게 이끌어야 하는 어른들의 잘못도 크고, 그동안 제대로 된 반성과 사과를 하지 못한 지역사회도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사과를 전한 이유에 관해 설명했다.
또한,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향후 대책에 대해서는 "피해자의 인권이 존중받고 보호받으며 더 이상 고통받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히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한 자발적 성금 모금과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안전하고 건강한 도시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안병구 시장의 이런 사과는 밀양 성폭행 사건의 재조명으로 지역 사회에 일어나고 있는 큰 파장을 의식한 행보로 보인다. 최근 시민들 사이에서 밀양을 가지도, 밀양 제품을 사지도 말자는 여론이 확산하며 휴가철을 앞둔 관광업계 종사자들과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밀양은 얼음골과 호박소, 표충사 등 밀양 주요 관광지가 모여있어 휴가철 여름 성수기에 문의가 폭주하는 곳에 가까웠다. 그러나 밀양시에 한 펜션을 운영하는 관계자는 휴가철 여름 성수기를 앞뒀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예약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
이어 펜션 운영자는 “내가 10년을 펜션만 운영했는데 코로나 때보다 더 이상으로 예약 손님이 없다. 문의조차 없는 건 이번이 충격이다”라고 말하며 지역 혐오로 번진 ‘밀양 성폭행 사건’을 문제의 원인으로 꼽았다. 또한, 인근 식당과 카페 역시 펜션과 비슷한 상황으로 평일은 물론이고 주말에도 손님을 찾아보기 힘들다고 토로한 것으로 확인됐다.
밀양시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가득 차야 하는데. 두 달 해서 1년을 먹고사는데 예약이 없어요. 중요한 거는 현장에 와서 뭐가 문제인지 뭘 해야 하는지 그런 걸 해야지. 사과한다고 해서 안 올 사람들이 옵니까”라고 현재 밀양시의 대응을 지적했다.
20년 전 범죄 사실이 밀양시를 향한 지역 혐오로 번진 상황에서 소상공인들은 휴가 대목은 기대로 못 할 정도라고 평가하며 현재 밀양시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지난 18일 밀양시는 밀양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 밀양시 관광협의회 간담회를 개최해 현재 지역 혐오로 번지고 있는 상황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한 논의에 돌입했다. 해당 간담회에서는 관광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논의됐으나, 여론이 밀양시에 등을 돌린 상황에서 이를 타개할 대책 마련에 대한 촉구가 빗발치고 있다.
이 콘텐츠는
카카오의 운영 지침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