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젓가락 팔'로 회수한 스타십…"상상이 현실됐다"

이채린 기자 2024. 10. 14.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페이스X의 스타십 1단 로켓인 '슈퍼헤비'가 지난 13일(현지시간) 발사탑에 설치된 젓가락 모양의 두 로봇팔 사이에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SpaceX/UPI 제공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화성 탐사용으로 개발한 초대형 발사체 '스타십(Starship)'을 발사 후 성공적으로 회수했다. 스타십 재사용을 위해 처음 회수에 시도해 성공한 것이라 화성 개척이 머지 않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스페이스X는 13일(현지시간) 오전 7시 25분(미 중부시간)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스타십을 발사했다. 스타십의 5차 시험비행이었다. 

스타십은 스페이스X가 개발중인 차세대 우주 발사체다. 높이 71m의 1단 로켓 ‘슈퍼 헤비’와 2단 로켓이자 우주선인 높이 50m의 ‘스타십'으로 구성돼 있다. 슈퍼 헤비의 높이는 아파트 23층 높이와 맞먹는다. 1단과 2단을 합친 총 길이는 120m다. 

스타십은 발사 약 3분 만에 전체 2단 발사체의 아랫부분인 슈퍼헤비 로켓이 상단 우주선 스타십에서 순조롭게 분리됐다 .발사 약 7분 후에는 슈퍼헤비가 우주에서 지구로 돌아와 수직 착륙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2단 우주선인 스타십도 예정대로 비행을 마치고 별 파손 없이 인도양 해역의 목표 지점에 성공적으로 입수했다.

이날 슈퍼헤비는 지상에 가까워지면서 엔진을 재점화해 역추진하는 방식으로 속도를 급격히 줄인 뒤 서서히 수직으로 하강했다. 이때 방향을 살짝 조정해 발사탑에 설치된 젓가락 모양의 두 로봇팔 사이에 정확하게 들어갔다. 두 개의 로봇팔은 젓가락이 무언가를 집을 때처럼 로켓의 상단부를 안정적으로 붙잡았다.

이같은 슈퍼헤비 회수는 이날 처음으로 시도해 성공했다. 머스크는 이 젓가락 팔을 장착한 거대한 발사탑을 영화 속 괴물 고질라에 비유해 '메카질라'라고 이름 붙였다. 이전 4차 시험비행까지 슈퍼헤비는 멕시코만 바다로 하강해 입수했다. 

이번 시도는 우주 역사상 큰 기술적 진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발사체 발사 비용도 대폭 줄일 예정이다. 지금까지 발사대에 재착륙한 로켓을 다시 쏘려면 한 달 이상 시간이 걸렸다. 메카질라를 이용하면 하루에 여러 차례 발사를 시도할 수 있을 정도로 발사 준비 시간이 단축된다. 또 로켓을 새로 만드는 비용이 절감돼 회사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로켓은 스타링크 위성을 한꺼번에 더 많이 쏘아 올리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머스크의 꿈인 인류의 화성 이주가 눈앞으로 다가왔다는 의미도 있다. 스페이스X는 화성을 개척해 인류가 이주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목표로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스타십을 개발해왔다. 우주선 스타십에는 80~120명의 사람이 탈 수 있다. 스타십은 NASA가 반세기 만에 인류를 다시 달에 보내려고 추진하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3단계 임무에도 사용될 예정이다. NASA는 이르면 2년 뒤인 2026년 9월 인류 역사 최초로 여성과 유색인종 우주비행사를 달에 착륙시키는 아르테미스 3단계 임무를 시도할 계획이다.

스타십은 역대 최강 발사체로 꼽힌다. 발사체를 밀어 올리는 힘인 추력이 가장 세다. 1700만 파운드(약 7700t)의 추력을 낸다. 보잉747 항공기 63대가 내는 추력과 같다. 탑재 중량 역시 최고다. 스타십은 고도 200km의 지구 저궤도에 150t의 탑재체를 쏘아 올릴 수 있다. 동일한 고도 기준 새턴5는 118t,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스페이스론치시스템(SLS)’은 약 95t이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는 1.9t에 불과하다.

한편 엑스(구 트위터)의 한 사용자가 슈퍼헤비가 회수되는 영상을 자신의 계정에 게시하며 "실화인가? 무슨 공상과학(Science fiction)처럼 느껴진다"고 쓰자, 머스크는 "허구가 없는 공상과학(Science fiction without the fiction part)"이라고 답하며 과학적 상상력이 현실이 됐음을 강조했다.

[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