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멸구 피해면적 2만6000㏊…“약제 수급에도 총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벼멸구 피해면적이 2만6000㏊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농진청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자체 별로 방제비 잔액 등 유보액을 활용해 수확 전 14일 까지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맞춰 긴급방제를 시행하고, 고온으로 출수가 빠른 지역은 조기(출수 후 50일 전후)에 수확할 것을 적극 유도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진청·지자체, 조기 수확 유도 등 피해 최소화 총력
“약제 수급에 어려움 없어…지역간 물량 재배정”
전국 벼멸구 피해면적이 2만6000㏊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긴급방제에 돌입하는 등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방제 약제 수급에도 차질이 없도록 지역 간 물량 재배정 등에 힘쓰고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20일 기준 벼멸구 피해면적은 2만6000㏊으로 파악됐다. 9월까지 고온이 지속되면서 빠르게 확산했다는 게 농진청의 설명이다.
농진청은 19일 충남·전북·전남·경남지역 도농업기술원과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벼멸구 긴급방제를 시행했다.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출수 후 50일 전후에 수확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벼멸구는 주로 6월 중하순부터 7월 중하순 사이 중국으로부터 기류를 타고 날아와 줄기의 아랫부분에 서식면서 벼의 줄기를 가해해 벼가 말라 죽게 하는 해충이다.
농진청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전국 690곳에서 벼멸구 발생을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7·8월 각 중순엔 벼멸구 발생 예방을 위해 전국적으로 공동방제를 시행했고 농가에겐 벼멸구 방제를 당부하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7만2000건 보냈다.
이같은 활동에도 벼멸구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한 건 고온이 9월 중순까지 계속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추석 연휴를 전후해 대규모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농진청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자체 별로 방제비 잔액 등 유보액을 활용해 수확 전 14일 까지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맞춰 긴급방제를 시행하고, 고온으로 출수가 빠른 지역은 조기(출수 후 50일 전후)에 수확할 것을 적극 유도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발생지역 지자체에서도 발생상황에 대한 현장조사를 지속하고 농가에게 방제 안내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
벼멸구 방제 약제 수급과 관련해서도 농진청은 현재로선 수급에 어려움이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현장에선 약제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농약 구매가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나온 바 있다.
농진청은 지역별 약제 잔량을 파악하고 농림축산식품부와 협력해 지역 간 물량 재배정 등 가능한 방법을 총동원해 방제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권철희 농진청 농촌지원국장은 “수확을 앞둔 시기에 벼멸구 피해로 많은 농가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농가들은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수확 14일 전까지만 약제를 살포하고 출수 후 50일이 지난 벼는 조기에 수확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해달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