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21조 쓰는 K마켓 놀랍다"…韓으로 몰려드는 명품 브랜드

배정철/박종관 2023. 2. 9. 18: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 백화점 명품 담당 바이어는 지난해부터 이전에는 마주칠 일이 없던 사람들과 미팅하는 일이 잦아졌다.

9일 글로벌 리서치 업체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체 명품시장 규모는 141억6500만달러(약 17조8600억원)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다.

이에 따라 명품으로 분류되는 해외 주요 브랜드는 급을 가리지 않고 한국으로 몰려들고 있다.

이미 진출해 있는 명품 브랜드의 한국 시장 공략도 거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韓 1인당 명품소비 '세계 1위'
톰브라운 등 韓법인 설립 붐
"가장 성장 가능성 높은 나라"
'아·태 총괄' 한국법인장 늘어
한류스타 내세운 홍보효과 커
18개사 앰버서더로 한국인 선택
中시장 역성장 반사이익도 누려

한 백화점 명품 담당 바이어는 지난해부터 이전에는 마주칠 일이 없던 사람들과 미팅하는 일이 잦아졌다. 유럽 주요국 대사관 관계자다. 이 바이어는 “해외 브랜드들이 주한 대사관과 국내 에이전트를 통해 어떻게 하면 한국에서 상품을 팔 수 있는지 귀찮을 정도로 문의한다”고 했다.

이는 코로나19를 계기로 한국이 글로벌 명품업계의 명실상부한 ‘큰손’으로 떠오른 실상을 보여주는 일단이다. 럭셔리산업의 본거지인 유럽에서는 “한국은 세계 명품시장의 별”(이탈리아 전국지 ‘일 솔레 24 오레’)이라는 얘기까지 나올 정도다.

아무리 추워도 신상은 못 참지 … 코로나19를 계기로 한국의 1인당 명품 소비액이 미국, 중국을 제치고 1위에 오를 정도로 시장이 급성장하자 글로벌 명품업계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상도 덩달아 뛰고 있다. 지난해 서울 소공동 신세계백화점 본점 명품관 앞에 소비자들이 건물 바깥까지 줄지어 입장을 기다리는 모습. 김범준 기자

○달라진 한국 위상

9일 글로벌 리서치 업체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체 명품시장 규모는 141억6500만달러(약 17조8600억원)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다. 세계 7위 규모다.

1인당 소비는 세계 최대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명품 소비액은 325달러(약 40만4000원)로 미국(280달러)과 중국(55달러)을 제쳤다. 이에 따라 명품으로 분류되는 해외 주요 브랜드는 급을 가리지 않고 한국으로 몰려들고 있다. 2021년 이후 한국 직진출을 선언한 명품 브랜드는 총 9개다.

메종마르지엘라, 질샌더 등을 보유한 OTB그룹은 한국 법인을 설립하기 위해 직원을 채용하고 있다. 톰브라운 역시 삼성물산과의 10년 계약을 종료하고 톰브라운코리아를 세울 예정이다.

이미 진출해 있는 명품 브랜드의 한국 시장 공략도 거세다. 티파니는 2021년 50억원을 들여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에 팝업스토어를 열었는데, 한 달간 250억원의 수익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구찌가 2021년 5월 서울 한남동에 선보인 ‘구찌 가옥’은 MZ세대의 ‘핫플’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앞서 4월엔 디올이 서울 성수동에 연면적 1500㎡ 규모의 플래그십 스토어를 열었다.

명품 기업들의 인사 정책에서도 한국 시장의 중요성이 커졌음을 엿볼 수 있다. 과거엔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총괄하는 본부장은 통상 홍콩이나 일본 법인에서 나왔다. 하지만 요즘은 한국지사가 아·태 지역을 맡는 브랜드가 많다. 버버리와 보테가베네타는 한국지사장이 일본과 아시아 지역 전체 사업을 총괄한다.

○성장세 어떻길래

명품 기업들이 너도나도 한국 공략을 강화하는 이유로는 크게 세 가지가 거론된다. 첫 번째는 매력적인 시장 성장세다.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의 명품 소비액은 2021년 대비 24% 증가한 총 168억달러(약 21조1000억원)에 달했다. 명품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글로벌 명품업계에서 가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국가란 평가를 받는다”고 설명했다.

한류 스타를 활용한 마케팅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K팝 스타들은 중국 등 아시아와 남미에서 미국 할리우드 스타들을 뛰어넘는 인기를 누리는 것으로 인정받는다. 2021년엔 그룹 엑소의 멤버 카이가 구찌와 함께 출시한 177만원짜리 니트가 중국에서 판매 시작과 동시에 동 나는 일도 있었다.

이런 추세에 맞춰 명품 기업들이 글로벌 패션쇼를 한국에서 여는 사례도 늘고 있다. 디올이 지난해 5월 서울 이화여대 캠퍼스에서 개최한 게 대표적이다. 구찌도 오는 5월 한국에서 ‘크루즈 패션쇼’를 연다.

○‘탈(脫) 중국’ 흐름도 영향

명품 기업들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게 한국에 반사이익을 가져다줬다는 분석도 나온다. 베인앤드컴퍼니 럭셔리 리포트에 따르면 중국의 명품시장은 지난해 5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 10% 역성장했다.

명품 브랜드들은 중국에서 받은 타격을 한국 등에서 만회했다. 버버리의 경우 지난해 중국에서 매출이 전년보다 23% 감소한 가운데 한국(10%) 일본(28%)에서 증가하며 충격이 작았다.

배정철/박종관 기자 bjc@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