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파’ 경의-동해선, DJ때 남북 정상회담으로 복원 ‘화해의 상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15일 일부 폭파한 경의선과 동해선은 각각 한반도 서쪽과 동쪽에서 남북을 잇던 대표적인 육로이자 남북 화해협력의 상징물로 여겨져왔다.
북한이 이날 경의선·동해선 일부 구간을 폭파하면서 남북 간 육로 통로는 이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과 화살머리 고지만 남게 됐다.
통일부는 이날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는 남북정상회담 이후 진행되어 온 대표적 남북협력 사업"이라며 "차관에 대한 상환 의무가 여전히 북한에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였던 1906년 일본이 물자 수송을 위해 개통한 경의선은 서울을 출발해 파주를 거쳐 북한 개성, 평양, 신의주로 이어지는 길이 518km의 철도다. 1937년 개통된 동해선은 강원도 고성을 거쳐 함흥까지 이어지는 길이 180km 철도로, 금강산이 구간에 포함돼있다.
남북은 김대중 정부 시절이었던 2000년 첫 남북 정상회담 계기로 경의선과 동해선의 남북 구간을 연결하는 데 합의했고, 곧이어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했다. 이후 경의선은 2003년 완공됐고, 2007년 5월부터는 문산부터 개성 구간에서 222회에 걸쳐 화물열차가 운행됐다. 동해선은 2005년 고성 제진부터 금강산에 이르는 구간이 연결됐다.
북한이 이날 경의선·동해선 일부 구간을 폭파하면서 남북 간 육로 통로는 이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과 화살머리 고지만 남게 됐다. 다만 앞서 북한군이 지난해 말부터 JSA에서 무장하면서 이곳에서 왕래가 중단됐고, 화살머리고지 일대 육로 역시 봉쇄된 상태로 알려졌다.
앞서 2002∼2008년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경의선·동해선 북측 구간에 대한 철도·도로 및 역사를 짓는 데 필요한 자재와 공사 장비를 대여하는 방식으로 1억3290만 달러의 차관을 제공한 바 있다. 통일부는 이날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는 남북정상회담 이후 진행되어 온 대표적 남북협력 사업“이라며 “차관에 대한 상환 의무가 여전히 북한에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고 강조했다.
고도예 기자 yea@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민주-의협 ‘정부 뺀 협의체’ 논의…李 “정부 개방적으로 나와야”
- 귀국 尹, 마중나온 韓과 대화없이 악수만…24일 만찬 ‘갈등 분수령’
- ‘의료계 블랙리스트’ 작성 32명 중 30명은 의사…2명 의대생
- 檢, ‘文 前사위 특채 의혹’ 관련 前 청와대 행정관 27일 소환
- 곽노현, 진보 교육감 단일화 경선 탈락…강신만-정근식-홍제남 압축
- 이재명 사법리스크 재점화에…민주당 “법 왜곡죄 상정”
- “거짓말처럼” 하루만에 8.3도 뚝↓…불쑥 찾아온 가을
- 故장기표, 김문수에 “너부터 특권 내려놓으면 안되겠나”
- “연금개혁안 도입되면 75·85·95년생 150만원 더 낼 수도”
- “천석꾼 가세 기울었어도, 독립운동 아버지 원망은 이제 안 해요”[동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