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제조업 디지털전환 촉진…설비 투자·인재 양성 지원 늘려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수도권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돕기 위한 정책 강화가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그러면서 "지역 균형발전 관점에서 보면 (수도권 비제조업보다) 비수도권 제조업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에 따라 연구센터는 비수도권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한 설비투자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수도권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돕기 위한 정책 강화가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주요 방안으로는 비수도권 제조업에 대한 설비투자 지원 확대, 전문 인력 양성·공급을 위한 산학 협력 정책 등이 제시됐다.
산업연구원 지역균형발전연구센터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디지털 전환의 지역기업 효과와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17일 발간했다.
연구센터가 디지털 전환 관련 6개 기반 기술인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5G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공학의 활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은 비제조업 위주로, 비수도권은 제조업 중심으로 이들 기술을 활발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센터는 “수도권 비제조업과 비수도권 제조업 기업은 디지털 전환 기술 활용에 따른 투자·고용·혁신 제고 효과가 (수도권 제조업이나 비수도권 비제조업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역 균형발전 관점에서 보면 (수도권 비제조업보다) 비수도권 제조업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에 따라 연구센터는 비수도권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한 설비투자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수요기업과 공급기업 간 협력을 강화해 비수도권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센터는 “비수도권에서 자체적으로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공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 협력 정책도 시급하다”며 “지역 산업과 대학 간 협력 강화 정책은 비수도권 제조업 고도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와 지방대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장관도 이날 ‘제3차 산업디지털전환위원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산업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AI를 적용한 연구·개발(R&D) 프로젝트 600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