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풀린 부산 취락지…기반시설 정비 절반에 그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발제한구역에서 풀린 부산지역 '집단 취락지구'에서 기반 시설 정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개발제한구역 집단 취락지구에 대한 정비 집행률이 낮은 것은 각 지자체의 예산 확보가 수월하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발제한구역에서 풀린 부산지역 ‘집단 취락지구’에서 기반 시설 정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랫동안 불편을 참아 온 주민들을 위한 대책이 적절하게 시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손명수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용인시을)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을 기준으로 할 때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된 전국의 집단 취락지구 1517곳에 대한 도시계획시설 집행률은 44.8%에 그쳤다. 면적으로는 전체 2260만6881㎡ 가운데 1133만6435㎡에 대해서만 집행이 됐다.
부산에서는 대상 지역 95곳( 545만8585㎡) 가운데 49.5%인 270만3731㎥에서 기반시설 정비가 이뤄졌다. 전국 평균보다는 높지만 충남(100%), 서울(95%), 인천(89%) 등에 비하면 크게 낮다. 경남과 울산의 집행률은 39%(189만4011㎡ 중 74만2667㎡). 29%(80만4680㎡ 중 23만4243㎡)였다. 수치가 낮은 곳은 세종(0%), 광주(11%), 대전(15%) 등이었다.
정부는 개발제한구역 내 행위 제한으로 인한 주민들의 불편 해소와 사유재산권 제약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지난 2001년부터 순차적으로 전국 1800여 곳을 개발 대상에서 제외했다. 관련 규정에는 주택 20호 이상, 면적 1만 ㎡당 10호 이상의 밀도를 갖는 취락지구라면 해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그 이후에는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해 도로, 주차장, 공원녹지 등과 같은 기반시설 정비와 주민 지원 사업을 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개발제한구역 집단 취락지구에 대한 정비 집행률이 낮은 것은 각 지자체의 예산 확보가 수월하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지원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사례도 많다. 이에 손 의원은 “국토부와 지자체가 힘을 합쳐 기반시설 설치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곳을 파악한 뒤 지역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정비 및 관리가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