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장·OTT·채널, 경쟁 아닌 상생 플랫폼..IP 수명주기 늘려야”[BIFF-CJ무비포럼]

한현정 스타투데이 기자(kiki2022@mk.co.kr) 2024. 10. 4. 11: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상현 대표. 사진 I CJ ENM
“내수시장만으론 콘텐츠 손익분기점 달성이 어려운 실정입니다. 글로벌 전략과 상생 플랫폼을 통해 기회의 폭을 확장하고 IP 수명주기를 극대화시키는 게 관건이죠.”

CJ ENM, CJ CGV, 스튜디오드래곤, 티빙 등 제작 유통 플랫폼 담당 엔터사업 경영진이 한 자리에 모여 ‘K콘텐츠 시너지’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했다.

윤상현 대표는 4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CGV센텀시티에서 열린 ‘CJ무비포럼’에서 “급변하는 업계 상황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한국 영화 산업 종사자들이 치열하게 고민하고 있는 시기”라며 “숱한 천만 영화를 배출했던 과거의 성공 방식이 더이상 유효하지 않아 신중한 고민을 할 수밖에 없으나 그럴수록 스토리텔링의 힘을 믿고 있다. 멋진 스토리와 아이디어를 가진 영화인들의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파트너가 되길 원한다. CJ가 가진 글로벌 스튜디오와 극장, OTT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역량과 인사이트로 영화인들을 지원할 것”이라고 방향성을 제시했다.

윤 대표는 이어 “영화 산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크리에이터의 상상력이 최고의 작품으로 빛날 수 있또록 글로벌을 향한 도전과 성공에 힘을 보탤 것”이라며 “국내 최고 수준인 지난 연간 1조원 규모의 콘텐츠 투자를 지속하며 K콘텐츠 생태계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사진 I CJ ENM
이날 CJ ENM(영화사업)과 스튜디오드래곤(드라마 제작), 티빙(OTT), CGV(극장) 주요 관계자들이 발표와 토론에 나섰다. 이번 포럼은 CJ그룹 엔터테인먼트 분야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산업 급변 속에서 영화 사업을 어떻게 해 나갈지, 각 회사들이 협업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등을 업계와 공유하는 자리다.

특히 극장·OTT·채널은 경쟁 플래솜이 아닌 ‘상생 플랫폼’임을 강조하며 기획 단계부터 IP 수명주기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아동현 경영혁신실장은 “영화 시장은 2019년 대비 60~70% 수준이 뉴노멀 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아티스트 콘텐츠, 애니메이션, 스포츠 등 콘텐츠 스굽을 다변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스튜디오드래곤 장격익 대표는 “국내 드라마 시장이 물량 경쟁에서 웰메이드 경쟁으로 전환될 것”이라며 진단하며 “좋은 소재와 연출, 연기 등을 바탕으로 K드라마 체질 개선의 기회로 삼고 신진 크리에이터와 신예 배우를 과감하게 기용하는 프로젝트도 늘릴 계획”이라고 했다.

서장호 콘텐츠유통사업부장은 “제작과 유통 전반에 걸쳐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글로벌 플랫폼과 협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극장, OTT, 채널은 서로 경쟁 플랫폼이 아닌 다양한 협업과 상생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다며 입을 모았다.

장 대표는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초청작인 ‘좇거나 나쁜 동재’를 예를 들며 “CJ가 가지고 있는 리소스를 활용하면 히트 IP를 리니어 채널(tvN), OTT(티빙), 극장 개봉(CGV)으로 전환 가능하다고”고 말했다.

이 실장도 “극장의 경우 ‘오프라인 공간’과 이에 기반한 ‘팬덤 결집’이라는 관점에서 다른 플랫폼과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고, 타 플랫폼과의 보완적 시너지가 가능하다”며 “오디션, 러브 버라이어티 등 실시간 최종 결과 스포에 민감한 예능 콘텐츠자 인기 드라마 마지막 회 관람단체 이벤트를 개최하는 등 관객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협업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했다.

최 대표 역시 “시리즈와 영화의 기획 단계부터 공통제작 편성, 영화와 시리즈 동시 기획, 스핀 오프와 숏폼 등 IP의 수명주기를 늘리는 방안을 다각도로 논의 중”이라며 “디지털과 오프라인 공간의 협업도 OTT와 영화관의 특징을 담아 더욱 활발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2일 개막한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이하 ‘부국제’, BIFF)는 오는 11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일대에서 열흘간 개최된다.

Copyright © 스타투데이.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