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놓고 밀어준다" 자동차 일괄 관세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불기둥 전망

"대놓고 밀어준다" 자동차 일괄 관세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불기둥 전망

사진=나남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대해 일괄적으로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일론 머스크가 수장으로 있는 '테슬라' 주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26일 미국 현지 매체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정책으로 인해 테슬라가 '최종 수혜자'로 부상했다"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외국에서 제조한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한다"라며 "엔진 등 자동차 부품들도 1달의 유예 기간을 거친 후 25% 관세가 붙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자동차 관세는 다음 달 4월 2일부터 발효되어 3일 0시 1분부터 징수된다.

사진=MBC뉴스

이로 인해 전 세계 자동차 업계가 패닉에 빠진 분위기 속, 테슬라는 홀로 고공행진 중이다. 테슬라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텍사스주에서 모든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입산 자동차에 부과되는 25% 관세를 낼 필요가 없다.

물론, 자동차 수입 부품에 한해 25%의 관세가 붙으므로 약간의 추가적인 생산 비용 상승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에서는 배터리 등 주요 부품들을 외국에서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타 자동차 업체의 가격 경쟁력 면에서는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높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새로운 자동차 관세 정책이 머스크에게 이득이 될 것으로 보나'라는 질문에 "중립적이거나 더 좋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미국에 자동차 공장이 있는 기업이면 누구에게나 좋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일론 머스크는 나에게 사업과 관련한 그 어떤 부탁도 한 적이 없다"라며 머스크와의 사적 영향력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테슬라도 수입 제조 부품으로 인해 관세 타격 불가피해

사진=MBC뉴스

머스크 역시 자신의 엑스를 통해 "정확히 말하자면 이번 25% 자동차 관세는 테슬라 차량에 들어가는 외국산 부품에 영향을 미친다. 비용에 끼치는 영향이 적지는 않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발표 이후 테슬라 주가는 288.20달러까지 오르면서 반등하기 시작했다. 이날 27일 오후 10시 기준으로 테슬라 주가는 271.98달러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다만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조치로 자동차 가격이 수천 달러 더 오를 수 있다고 경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번스타인은 "모든 자동차 업계는 배터리, 원자재, 모터 등 부품을 수입하고 있다. 이번 조치로 인해 연간 750억 달러(한화 약 110조 원)을 추가로 부담해야 될 것이고 이는 모두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테슬라와는 정반대로 폭스바겐이 최대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폭스바겐은 미국 테네시주 공장에서 SUV 아틀라스, 전기차 ID.4를 제조하고 있지만 제타 모델은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한다.

Copyright © 저작권 보호를 받는 본 콘텐츠는 카카오의 운영지침을 준수합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