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일, 남해고속도로 창원 방면으로 창원터널을 1㎞ 지난 지점에서 윤활유를 싣고 가던 화물차의 폭발 사고가 있었다. 이 화재로 3명이 사망하고 5명이 다쳤다. 창원터널은 유난히 사고가 많다. 지난해 5월엔 학생들을 태운 버스가 승용차와 추돌해 4명이 사망하고 56명이 다쳤다. 불과 5개월 후에는 2.5t 트럭에 불이 나 터널 안에 있던 운전자와 탑승자 1,000여 명이 대피하는 사건도 있었다.
지난 3월, 창원시는 2011년부터 5년 동안 터널 15개에서 일어난 교통사고를 분석해 보고서를 내놨다. 터널 교통사고의 사망 발생률은 2배나 더 많았다. 사고 당 평균 피해액도 2016년 기준 364만8,516원으로, 일반도로 교통사고보다 1.76배 높았다. 다중추돌, 화재발생 등 대형사고 발생이 많은 까닭이다.
9,500건을 웃돌던 일반도로 교통사고는 줄고 있다. 반면 터널사고는 2013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3년 300여 건이었는데, 2016년 470건까지 치솟았다. 창원터널은 전국의 1,994개 터널 중 사고가 가장 많다. 지난 5년간 약 2,000건의 터널 사고 중 95건이 창원터널에서 발생했다.
창원터널이 위험한 이유는 무엇일까? 첫 번째 이유는 통행량 초과다. 국토교통부는 왕복 4차선 지방도 터널의 경우 하루 평균 5만7,400여 대 통행을 기준 삼아 짓는다. 그런데 창원터널 하루 평균 통행량은 8만8,000여 대. 터널 설계 용량을 한참 초과하고 있다.
두 번째 이유는 지리적 환경에 따른 문제다. 창원터널은 창원시의 불모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다. 때문에 터널 안은 급한 경사로 인한 위험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가령 과적운반 화물차는 창원터널의 적이다. 국립과학수사 연구원은 지난 11월 화물차 폭발 사고 원인을 브레이크 고장으로 결론 내렸다. 적재량을 초과한 과적운반에 내리막까지 겹쳐 브레이크에 무리가 있었던 셈이다.
11월 15일, 경남도는 창원시와 경남지방경찰청, 창원중부경찰서,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창원터널의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협의체를 만들어 첫 회의를 가졌다. 경남지방경찰청은 창원터널에 구간 과속단속 카메라를 설치하고 미끄럼 방지 포장, 터널 조명 개선 등을 안전대책으로 내놨다.
하지만 시민들은 개선책이 미흡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창원터널의 안전을 위한 근본 처방인 통행량 감소를 위한 우회도로 건설과 화물차의 과적 운반방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김해시의회는 창원터널의 통행량 분산을 위해 비음산터널 건설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경상도와 경남도의회, 창원시에 전달했다. 김해시는 10년 전부터 꾸준히 비음산터널 건설을 제시해왔다. 하지만 인구유출을 우려한 창원시의 반대로 지지부진한 상태다.
트럭 운전기사들은 과적운반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지입제 폐지’를 꼽았다. 현재 트럭 운전기사 대부분은 개인 화물차를 화물운송사업면허가 있는 운수업체에 등록해 일거리를 받고 있다. 상대적으로 약자인 기사들은 업체의 일방적인 운임결정과 과적강요를 마다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싫어도 과적을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바꾸지 않으면 같은 사고를 반복할 수밖에 없는 셈이다.
경남도 협의체는 다음 달 20일 있을 최종회의를 통해 터널 안전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하지만 시민들의 안전을 위한 확실한 처방법을 내놓을지 확신할 순 없다. 경남도 관계자가 이번 창원터널 폭발 사고로 만든 협의체에 대해 “새로운 도로 건설과 지입제 폐지에 초점을 맞추기 보단 터널의 안전대책을 세우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힌 까닭이다.
글 이현성 기자
사진 경남지방경찰청, 한국도로공사, 네이버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