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차에 사용되는 '후륜구동' 방식의 장단점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구동방식은 크게 전륜구동과 후륜구동으로 구분된다. 과거 후륜구동으로 시작돼 간단한 구조와 실내공간 확보에 유리한 전륜구동 방식이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고급차를 중심으로 후륜구동 방식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전륜구동 방식은 엔진에서 후륜 축으로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필요하지 않아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파츠의 생략을 통해 무게를 줄이고 연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콤팩트한 파워트레인 구성으로 중소형차에 적합하다.

전륜구동 방식의 단점은 무게배분이다. 전륜에 엔진과 변속기 등 차체중량이 집중돼 운동성능이 떨어진다. 또한 가로배치 엔진으로 인해 회전반경이 비교적 크며, 좌우 드라이브 샤프트의 길이 차이로 급가속시 한쪽으로 쏠리는 토크 스티어가 발생된다.

후륜구동 방식은 고급차와 스포츠카에서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 구동축과 조향축이 분리돼 핸들링 성능을 비롯한 주행성능 확보에 유리한 구조다. 전후 무게배분을 50:50에 가깝게 구현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내구성이 뛰어나 고출력 엔진에 적합하다.

후륜구동 방식의 단점은 눈 내린 도로와 같은 미끄러운 노면에서 나타난다. 엔진 등 무게가 구동축에 집중되는 전륜구동과 달리 구동축에 실리는 차체중량이 가벼워 눈길 주파력이 떨어진다. 자세제어 시스템과 윈터 타이어, 사륜구동 방식으로 보완하고 있다.

그 밖에 후륜구동 방식은 고속에서의 승차감 확보에 유리하다. 전륜구동 방식의 경우 고속에서 차체 뒷 부분이 미세하게 흔들리는 피쉬테일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타이어 마모의 경우 전륜구동 방식은 전륜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상시 사륜구동 차량의 경우 전륜구동 기반과 후륜구동 기반으로 나뉘는데, 구동력 배분에서 차이를 보인다. 아우디, 폭스바겐 등 전륜구동 기반은 전륜에 주로 출력을 보내며, BMW, 제네시스 등 후륜구동 기반은 후륜에 주로 힘을 전달한다.

본인이 운전하는 차량의 구동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폭설시 일시적으로 스노우 체인, 스프레이 체인 등을 사용할 경우 구동축과 다른 바퀴에 적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또한 후륜구동과 전륜구동은 한계 코너링에서 다른 특성을 보인다. 후륜구동은 코너를 안으로 파고드는 오버스티어, 전륜구동은 코너를 벗어나려는 언더스티어 성향을 갖는다. 최근의 양산차들은 안전을 위해 구동방식과 상관없이 약한 언더스티어 성향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