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고성 주택은 텃밭을 가꾸고 손주들이 뛰어놀 건축주의 로망을 담은 곳이다. 대지가 바다 가까이에 위치한 점을 고려해 트인 경치를 바라볼 수 있는 배치를 계획했다. 큰 창을 사용하고 데크를 마련해 실내에서도 자연을 충분히 느낄 수 있어 더욱 매력적이다.
정리 남두진 기자│자료 더존하우징 인테리어부
정리 남두진 기자│자료 더존하우징 인테리어부
01_현관
밝고 심플한 화이트 톤의 가구와 벽지를 바탕에 두고 패턴이 재미있는 테라조타일로 바닥에 포인트를 줘 공간을 생동감 있게 조성했다.
밝고 심플한 화이트 톤의 가구와 벽지를 바탕에 두고 패턴이 재미있는 테라조타일로 바닥에 포인트를 줘 공간을 생동감 있게 조성했다.
02_거실
오픈실링을 적용하고 주방과도 일체화해 개방감과 웅장함을 극대화한 공용공간을 완성했다. 세로 패턴이 두드러지는 아트월로 단조롭지 않은 포인트를 줬다.
오픈실링을 적용하고 주방과도 일체화해 개방감과 웅장함을 극대화한 공용공간을 완성했다. 세로 패턴이 두드러지는 아트월로 단조롭지 않은 포인트를 줬다.
03_주방·식당
화이트 톤으로 깔끔한 인상을 주면서 짙은 녹색의 가구를 더해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했다. 상부장 대신 설치한 선반이 트렌디한 멋을 전한다.
화이트 톤으로 깔끔한 인상을 주면서 짙은 녹색의 가구를 더해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했다. 상부장 대신 설치한 선반이 트렌디한 멋을 전한다.
04_포치
천장에는 아늑함을 느낄 수 있는 우드를, 벽체에는 외장재를 그대로 이어 독특한 공간감을 부여했다. 우드 디자인 펜던트 조명이 보다 편한 분위기를 돋운다.
천장에는 아늑함을 느낄 수 있는 우드를, 벽체에는 외장재를 그대로 이어 독특한 공간감을 부여했다. 우드 디자인 펜던트 조명이 보다 편한 분위기를 돋운다.
05_1층 침실
수면을 위해 가장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불필요한 요소를 줄여 군더더기 없는 공간을 완성했다. 1층 침실은 드레스룸과 욕실을 포함한 마스터룸으로 계획했다.
수면을 위해 가장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불필요한 요소를 줄여 군더더기 없는 공간을 완성했다. 1층 침실은 드레스룸과 욕실을 포함한 마스터룸으로 계획했다.
06_계단실
바닥재, 챌판, 손스침까지 멀바우 집성목으로 통일해 중후하고 무게 있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검은색 평철 난간을 더해 미니멀하면서 모던한 연결 공간을 완성했다.
바닥재, 챌판, 손스침까지 멀바우 집성목으로 통일해 중후하고 무게 있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검은색 평철 난간을 더해 미니멀하면서 모던한 연결 공간을 완성했다.
07_가족실
거실 천장을 그대로 잇고 유리 난간을 통해 공간의 연결성을 강조했다. 뻗은 시야는 시원한 공간감을 연출하고 발코니로부터 풍광을 실내로 끌어와 쾌적함도 더했다.
거실 천장을 그대로 잇고 유리 난간을 통해 공간의 연결성을 강조했다. 뻗은 시야는 시원한 공간감을 연출하고 발코니로부터 풍광을 실내로 끌어와 쾌적함도 더했다.
08_2층 침실
인디핑크 톤 벽지와 화이트 톤 가구를 조합해 산뜻하면서도 감각적인 공간을 완성했다. 한쪽에 마련한 큰 창을 통해 트인 경치가 바라보인다.
인디핑크 톤 벽지와 화이트 톤 가구를 조합해 산뜻하면서도 감각적인 공간을 완성했다. 한쪽에 마련한 큰 창을 통해 트인 경치가 바라보인다.
09_욕실
전체적으로 그레이 톤 타일로 차분한 분위기의 통일을 이뤘다. 건축주 취향에 맞춰 조적 욕조와 제작 세면대로 구성했고 수전과 손잡이 등에 검은색을 적용해 고급스러움도 더했다.
전체적으로 그레이 톤 타일로 차분한 분위기의 통일을 이뤘다. 건축주 취향에 맞춰 조적 욕조와 제작 세면대로 구성했고 수전과 손잡이 등에 검은색을 적용해 고급스러움도 더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