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멸구는 자연재해”…전남도·농민단체, 정부대책 촉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남지역 농민단체들이 벼멸구 피해를 자연재해로 인정해 줄 것을 정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정부에 벼멸구 피해 재해 인정과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구하는 건의문을 발표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같은날 도청 브리핑룸에서 '벼멸구 피해의 재해 인정'과 '피해 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정부에 촉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영록 지사도 “벼멸구 피해 재해 인정·특별재난지역 선포”
전남지역 농민단체들이 벼멸구 피해를 자연재해로 인정해 줄 것을 정부에 강력히 촉구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정부에 벼멸구 피해 재해 인정과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구하는 건의문을 발표했다.
2일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전남연맹,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광주전남연합, 전국쌀생산자협회 광주전남본부 소속 농민 160여명이 전남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주요 요구사항은 ▲벼멸구 피해 농업재해 인정 ▲2023년산 쌀 20만t 시장격리 ▲수입쌀 사료용 사용 ▲밥 한공기 300원 보장 등이다.
윤일권 의장은 “행정당국이 벼멸구가 재해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벽을 보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다”며 “11월 20일 용산으로 올라가 전국농민대회를 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형대 전남도의원도 “올해 가을, 농민들에게 벼멸구라는 자연재해와 쌀값 대폭락이라는 사회적 재난이 같이 왔다”며 “현장에선 지금 수확 작업을 하고 있는데 (수확을 마치기 전에) 벼멸구 피해가 자연 재해라는 것을 인정하고 피해 조사를 해야 한다”고 농식품부의 조속한 대응을 거듭 촉구했다.
쌀값 안정화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거셌다.
통계청에 따르면 9월25일자 전국 평균 산지 쌀값은 80㎏들이 한가마당 17만4592원으로 지난해 10월 21만 222원을 정점으로 11개월째 연속 하락하고 있다.
이에 김원숙 나주시 여성농민회 사무국장은 쌀값 하락의 원인으로 ‘한해 40만t가량 들어오는 수입쌀’과 ‘2020년 변동직불제(쌀 목표가격제) 폐지’를 지목했다.
김 국장은 “수입쌀을 밥쌀용 쌀이 아닌 사료용으로 쓰고, 현재 국회에 발의한 새로운 양곡관리법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며 “농민이 쌀농사를 지어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결의문을 낭독한 이후 볏짚을 태우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이 과정에서 불을 진화하려는 경찰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같은날 도청 브리핑룸에서 ‘벼멸구 피해의 재해 인정’과 ‘피해 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정부에 촉구했다.
김 지사는 ▲해남·영암·강진과 장흥 일부 지역의 특별재난지역 선포 ▲벼멸구 피해의 재해 인정과 신속한 피해조사와 복구비 지원 ▲농업재해 범위에 ‘이상고온’과 ‘이상고온으로 발생하는 병해충’ 등을 포함할 것을 건의했다.
도에 따르면 중국 남동부에서 발생한 벼멸구는 7~8월 기류와 태풍을 타고 국내로 유입됐으며, 이후 이상고온으로 피해가 확산된 것으로 파악된다. 7~9월 전남지역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2.6℃ 높았고, 폭염일수도 평년보다 22.7일 많았다.
이에 따라 벼멸구 부화일은 7.9일로 20℃ 미만일 때보다 5일 단축되고, 산란횟수는 2회에서 3회로 늘었다.
정부는 벼멸구 피해 벼에 대해 ‘잠정등외 등급’으로 매입해주겠다고 발표했지만 쌀값 폭락과 농자재 등 생산비 상승 등으로 삼중고를 겪는 농촌 현실에서 역부적이라고 도는 지적했다.
김 지사는 “올해 농민들은 일조량 부족, 집중호우, 역대급 폭염 등 역사상 유례없는 이상기후로 농업 분야에만 12차례 재해가 발생했다”며 “벼멸구 피해는 명백히 폭염과 태풍 등이 원인이 된 농업재해”라고 강조했다.
이어 2014년과 2022년 정부가 벼 이삭도열병을 재해로 인정한 사례를 언급하며 이번 피해에 대한 신속하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거듭 강조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