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다 됐네.. 벼랑 끝 쉐보레, 결국 '중국'에 굴복 했다는 현 상황!

조회 6,9822025. 1. 2.
사진 출처 = 'Gmauthority'

우리의 마음속에 언제나 살아있는 차가 있다. 옛 대우의 마티즈이자 한국GM의 스파크일 것이다. 비록 지금은 단종되었지만, 한 때는 뭇 초보 운전자의 사랑도 받았으며 국산차에서 보기 힘든 유채색을 강조해 한국 도로를 한층 더 컬러풀하게 만들어주던 경차였다. 그런데 단종된 스파크가 전혀 다른 모습으로 공장에서 찍힌 사진이 유출되었다. 외관을 살펴보니 어디선가 익숙한 냄새가 나는 것 같기도 하다.

실제로 중국에서 개발된 차량을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차량은 GM과 상하이의 합작 법인인 바오준의 Yep Plus라는 모델을 배지 엔지니어링 한 것이다. 스파크가 전기차로 다시 태어난 것 자체는 환영이지만 역시 첫 번째 문제는 가격, 두 번째 문제는 품질이다. 아무래도 중국 설계 기반의 차라면 불안하게 느껴지는 게 사실이고 더군다나 스파크는 안전하지 않다면 생명의 위협을 느낄 수 있는 경차다.

사진 출처 = 'Automoli'
사진 출처 = 'Car.info'
본래 GM이 자주 했던 일
라노스를 기억하십니까?

배지 엔지니어링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전략적으로 특정 차종을 시장에 진출시킬 때 유리한 브랜드로 변경하여 출시하는 것이다. 본래 여러 브랜드를 산하에 두었던 GM이 자주 사용했던 방법이다. 물론 다 성공한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대표적으로는 매그너스와 토스카 같은 중형차부터 젠트라, 라세티와 같은 차들도 대우차에서 개발하곤 타 국가에는 스즈키, 쉐보레, 홀덴, 라본등의 브랜드로 팔려나간 전적이 있다.

가장 오랜 기간 생산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은 라노스라고 본다. 라노스는 90년대 후반 대우차에서 개발하여 출시한 소형차로, 당시 대우차의 중형차였던 레간자와 패밀리룩을 이뤄 소형차답지 않게 꽤 다부지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했는데, 내수 시장에서는 2003년경 칼로스에 배턴을 넘겨주고 단종되었으나 일부 개도국에선 2010년대까지도 신차로 생산 및 판매되었다. 아마도 이번에 유출된 스파크 EUV도 개도국 시장을 위한 배지 엔지니어링으로 보인다.

사진 출처 = 'Car News China'
사진 출처 = 'Car News China'
1,800만 원대에서 시작
2,000만 원대까지 포진

원형이라고 볼 수 있는 바오준의 Yep Plus라는 모델은 중국 시장에서만 판매되는데, 판매가를 한화로 환산했을 시 기본 1,898만 원부터 최고 2,100만 원의 가격대에 포진되어 있다. 전기차인 것을 고려했을 때 가격이 비싸다고 할 수는 없지만 2022년 당시 스파크의 가격표를 살펴보면 최고급 트림인 마이핏의 경우 1,487만 원인 점을 봤을 때 상대적으로 비싸졌다고 느낄 수는 있을 것이다. 더군다나 중국산이다.

1회 완충 시 400km가량 주행을 할 수 있고, 100마력을 내는 모터가 탑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만 본다면 현대차의 캐스퍼 일렉트릭과 비교되는데, 이는 국가별 전기차 주행거리 측정 조건이 달라 정확하다고 볼 수는 없다. 스파크 EUV가 국내에 출시한다는 소식을 아직 접할 수는 없지만 대한민국의 기준을 적용한다면 1회 완충 주행거리는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사진 출처 = 'Autocar'
사진 출처 = Youtube 'KB Cars'
마티즈의 역사는 아까운 마음
당시 시장 석권한 경차

기업에서 전략적으로 움직이는 것에 무조건 반기를 들 필요는 없다. 하지만 대한민국 국민의 대부분은 마티즈에 가진 추억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면허 따고 처음 산 차 또는 엄마의 마트용 자동차, 밴에 대한 추억이 있다면 소규모의 짐을 싣고 다닐 수 있는 수완 좋은 사업 파트너. 나라가 어려운 시절에 출시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것과 다르게 마지막 단종 시는 미미한 판매량을 보여준 것도 아쉽다.

초대 마티즈가 출시될 당시엔 현대차의 아토스와 경쟁에서 압도했고, 그 이후 아토스의 인도 수출형 상트로를 기반으로 한 기아의 비스토까지 합세했어도 상대가 안 될 정도였다. 그러다 경차 규격이 변경되고 기아에서 모닝과 레이로 응수하며 시장에서 서서히 밀려난 작은 영웅이었다. 현재는 트레일 블레이저가 그 포지션을 이어받은 상황이라 당장 스파크가 부활한다고 보긴 어렵겠지만, 언젠가 위풍당당하게 다시 등장해 현대차그룹의 독주를 견제할 수 있길 바란다.

자동차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슈들
제보를 원한다면? 카카오톡 ☞ jebobox1@gmail.com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