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특이한 새 올려봄 (흙팔백 고찰)

그것은 바로 오늘 아침에 찍어온 벌새

비행 사진은 24-240 슈퍼줌으로 찍어서 샤프하지는 않음

마지막에 흙팔백 사진도 있으니 끝까지 봐줘

7fe88075b58075ff20a8d3b706f11a397b11b29235e910d41177
7fe88075b58075f73af1c1b014c10403820acab49a0ebfa7466f9a
7fe88075b58075f738f1c1b014c104033f7997ef56fcb2fa7e8106
7fe88075b58075f737f1c1b014c10403d04aa7bdd7185ed0ee72d5
7fe88075b58075f43ef1c1b014c10403fca002962bf5a6e7e6c8
7fe88075b58075f43df1c1b014c104033b3f2f174d08d05bf14e48
7fe88075b58075f438f1c1b014c10403a1b7f8cbbe0e14dee9e41c
7fe88075b58075f53ef1c1b014c10403362917960c150e36ff1329

+++

원래 흙팔백 들고 벌새를 찍으러 공원에 나갔는데

바로 흙팔백의 한계를 뼈저리게 느꼈다.

일단 화각도 좁은데 AF존은 더 좁아서 새를 프레임 안에 넣는 것도 힘든데

STM모터가 굼떠서 빨리 움직이는 새는 도저히 못따라가더라.

호버링 하는 장면 하나도 못건짐. 물론 내 실력 문제가 크겠지만서도.

슈퍼줌은 USM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프레임에 넣기만 하면 초점 끝까지 추적함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b6d689432

꼬우면 이거 사란 말이야~

정보) 흙백사도 USM이다.

아 물론 흙팔백도 가만히 앉아 있는 새에는 한 방이 있음 ㅇㅇ

7fe88075b58075f420a8d3b706f11a39f58b395c1ac3a8222c9c
7fe88075b58075f520a8d3b706f11a39e662d6c6d2fb622690f4
7fe88075b58075f020a8d3b706f11a391d6ac4f42927aebac214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