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스하고 시원한, 밝은 집

햇볕이 뜨겁다. 해가 드는 곳이 마냥 좋았던 몇 달 전과 달리 햇살이 따갑기만 한 여름이다. 이렇게 계절에 따라, 삶의 방식과 공간에 따라, 해가 드는 공간은 좋을 수도 힘들 수도 있다.

진행 이형우 기자 | 글 장서윤(디자인랩소소 소장) | 협조 하우저(건축&인테리어 매칭 플랫폼)
인류 문명사에 태양신은 얼마나 많았을까. 가장 절대적이고 필요한 존재이면서도 때로는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 무서운 존재. 해는 따스한 빛으로 우리를 살게 하지만 뜨거운 빛으로 몸을 상하게도 한다. 해의 빛과 열은 우리의 생존과 직결돼 있다. 해와 좋은 관계를 맺는 집은 빛을 소용에 따라 잘 받아들이고, 열을 잘 이용하는 집이다.

공간을 밝혀주는 빛
해가 드는 공간이라 할 때 우리가 가장 먼저 떠올리는 곳은 빛이 쏟아지는 밝은 공간이다. 햇빛은 밝다. 생각보다 정말 밝다. 아무리 조명을 많이 설치해도 햇빛만큼 공간을 밝힐 수 없고, 식물 생장등을 아무리 빽빽하게 켜두어도 빛을 좋아하는 식물들은 바깥에 나가서야 기지개를 켠다. 그 빛을 우리도 적당히 잘 받아 써야 한다.
햇빛이 많이 들어오면 쾌적한 공간이라 여기기 쉽지만, 그저 많은 빛은 우리 환경에 그다지 이롭지 않다. 특히 직광은 유용하지 않다. 햇볕이 바로 내리쬐는 공간에서는 눈이 부셔 책도 읽을 수 없고 설거지조차 힘들다.
우리 생활에 유용한 빛은 직사광이 아니라 간접광이다. 간접광은 반사광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 거울이나 금속 같은 매끈한 물건이 아니더라도 모든 물건이 빛을 반사시킨다. 집의 마룻바닥, 밝은 색 벽지에서도 빛은 반사되기 때문에 방 안에 작은 빛만 들어와도 방은 밝아진다. 빛 환경의 관점에서만 본다면 동서향의 방은 직사광이 깊이 들어와 뭔가 작업을 하기에 좋지 않고, 오히려 북향의 방은 일정한 밝기의 간접광이 들기 때문에 동서향 공간에 비해 환경이 꼭 나쁘다고 보기도 어렵다.
북반구에서 남향의 집을 선호하는 것은 기온 때문만이 아니다. 정오 남측의 태양은 높아 직광이 가장 덜 들어오고, 동서향의 직광을 적절히 필터링하면서도 빛이 가장 오래 드는 향이 남향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한옥은 빛을 조절하기 위한 치열한 고민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남향으로 짓고 처마를 길게 빼 최소한의 직광만 집 안으로 들어오게 하고, 마당에는 밝은 색 모래를 깔아 최대한 많은 빛이 반사돼 집 안으로 들어오도록 했다. 유리가 상용화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창과 문에 사용됐던 창호지는 방 안으로 은은한 빛을 유입해 내부의 빛 환경을 더욱 좋게 했다.
전술한 대로, 작업을 하거나 오래 머물게 되는 곳에는 최소한의 직사광을 들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남향의 창이 너무 크다면, 적절한 차양을 둔다거나 처마를 두는 것이 좋다. 동서향의 빛은 눈이 많이 부시고 집 안으로 너무 깊숙하게 들어오므로, 수직 방향의 루버 등을 설치하거나 세로로 좁고 긴 창을 설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집을 지을 수 없고, 이미 지어진 집에 살고 있는 상황이라면 블라인드나 커튼으로 빛을 조절해 환경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집 전체를 밝게 아우르면서 밝기의 차이가 너무 많이 나지 않는 집, 적절한 직광과 반사광으로 따뜻한 공간감을 만들어주는 집이 좋은 집이다.
삶의 방식과 장소에 따라 볕이 드는 공간은 좋을 수도 힘들 수도 있다.
열기 가득한 햇빛
햇볕은 뜨겁다. 특히, 요즘 같은 여름 볕에 화상을 입어본 경험은 대부분 갖고 있다. 심지어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에도 외부에 오래 있으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겨울 내내 찾아다녔던 햇볕을 여름에는 피하듯, 집 역시 겨울에 깊숙이 빛이 들고 여름에는 덜 드는 집이 살기 좋은 집이다.
생존을 위해 난방을 한 역사는 오래됐지만, 그래도 여전히 햇볕은 겨울의 집에 가장 중요한 열원이다. 다행히도 겨울에 태양의 고도는 낮고, 겨울에는 같은 크기와 위치의 창에서 여름보다 훨씬 깊은 곳까지 빛이 들어와 집을 데운다. 그럼에도 향의 차이는 물론 있다. 남향 창은 오랜 시간 빛을 받아들이지만 깊이 들지 않고, 동향의 빛은 더욱 깊이 들어오고 더 뜨겁지만 그 시간이 짧다. 서향의 빛은 비교적 길고 따스하므로 겨울에는 따뜻한 공간을 만든다. 겨울의 따뜻한 집을 위해서는 이런 점들을 고려한 창 계획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만 생각해 창을 너무 크게 만들면 여름에 불리할 뿐만 아니라 유리를 통해 내부의 열을 빼앗길 수 있으므로 큰 창을 만드는 것에는 신중해야 한다. 유리는 열을 가장 많이 빼앗기는 재료 중 하나다. 로이코팅을 하기도 하고, 요즘은 삼중 유리도 흔하게 사용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취약한 부분인 것은 어쩔 수 없다.
여름의 빛은 잠깐도 힘들고 뜨겁다. 당연히 집 안에 직광으로 들어오는 햇볕이 최대한 잠깐 머물도록 해야 한다. 여름 남향의 태양은 높아 남향 창으로는 빛이 많이 들어오지 않는다. 반면에 동서향의 창으로는 뜨거운 빛이 많이 들어온다. 특히, 서향 창은 낮이 긴 여름의 집에 좋지 않다. 지금은 냉장고에 대부분의 음식을 보관하지만, 실온에서 보관하는 음식들이 있는 주방과 다용도실을 서향에 두는 것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북향의 창으로는 직사광이 들어오지 않아 여름에는 유리하다.
채광을 조절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열원으로서의 햇볕을 조절해 받아들이는 것도 고려해 집을 계획해야 한다.
겨울 내내 찾아다녔던 햇볕을 여름에는 피하듯, 겨울에 깊숙이 빛이 들고 여름에는 덜 드는 집이 살기 좋다.
빛으로 낡아가는 집
해의 빛과 열은 우리의 실내 거주 환경 측면에서만 조절해야 하는 요소는 아니다. 집에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고, 해의 빛과 열에 의해 영향 받는다.
경사 지붕에 많이 사용하는 금속재는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여름엔 늘어나고 겨울엔 줄어들기 때문에, 그 연결 방법과 부착 방법에 대해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 대부분의 금속 지붕이 폭이 좁고 긴 판을 함께 접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것은 이러한 계절에 따른 변형에도 탈락되거나 끊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붕재와 골조 사이에 적절한 공기층을 만들어 금속의 열이 골조나 단열재에 바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빛에 의해 색상이 변하거나 삭을 수도 있으므로 자재 선정 시 품질도 고려해야 한다.
빛과 열에 의해 가장 많은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자재는 목재다. 외부에 설치되는 목재에 가장 치명적인 것은 수분인데, 빛과 열에 의해 이 수분이 마르면서 목재의 변형을 일으킨다. 수분 침투와 건조에 의한 목재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바르는 오일스테인과 바니쉬는 햇빛에 의해 녹아내리거나 바랜다. 따라서 마당 등 외부 공간에 목재를 사용하거나 건물의 외장재로 목재를 사용할 경우 매년 오일스테인을 발라주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비용이 조금 올라가기는 하지만, 합성목재나 변형되지 않도록 처리가 된 가공목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목재들 역시 시간이 지나면 겉에 바른 스테인과 바니쉬는 얇아지고 색이 바래므로, 처음과 같은 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리를 해줘야 한다.
이 외에도 대부분의 건축 재료는 햇빛과 볕에 의해 낡게 된다. 색이 바래고, 팽창하거나 수축하고, 삭아버리기도 한다.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들은 주변의 다른 부위들에도 열을 전달하고, 집 안의 냉방 효율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므로 집의 재료를 선택할 때는 그 지역의 날씨, 집의 향에 따른 햇빛의 양, 내구성 등을 모두 고려해 선택해야 한다.
빛과 열에 의해 가장 많은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자재는 목재다. 외부 공간이나 건물의 외장재로 목재를 사용할 경우 매년 오일스테인을 발라주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밝고 따뜻한 집
인공조명과 냉난방이 많이 발달돼 예전만큼 집의 향이 중요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해는 중요하다. 해를 며칠만 보지 않아도 우리 몸은 피폐해진다. 사람뿐 아니라 모든 생물에게 해의 힘이 절대적임은 식물을 키우면서 더욱 실감하고 있다. 하지만 좋은 약도 과하면 독이 되듯이 모두에게 해는 절대적인 존재이면서도 적절히 잘 이용해야 하는 대상이다.
따스하지만 뜨겁지 않은 빛, 골고루 밝은 빛이 그득한 집에 사는 것은 모두에게 그리운 꿈이 아닐까.
해와 좋은 관계를 맺는 집은 빛을 소용에 따라 잘 받아들이고, 열을 잘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