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우크라 4개주 병합투표 종료.. 제2 크름반도 '시간문제'

이병훈 2022. 9. 27. 20: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 편입 여부를 결정하는 우크라이나 4개주(州)의 주민투표가 27일(현지시간) 종료됨에 따라 우크라이나와 국제사회의 격렬한 반발 속에서 강제병합 절차가 이달 중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2014년 러시아가 크름반도를 강제 병합할 때에도 주민투표부터 법률 절차 완료까지 채 일주일이 걸리지 않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민 대다수 러시아계·친러 성향
무장군인 감시.. 압도적 찬성 전망
8년 전 강제 병합 땐 1주 안에 완료
징병소 총격 등 러 동원령 혼란 계속
외교부 "재외국민 안전 확보 지시"
러, 美기밀 폭로 스노든에 시민권
美 "이젠 전쟁에 징집될 수도"조롱

러시아 편입 여부를 결정하는 우크라이나 4개주(州)의 주민투표가 27일(현지시간) 종료됨에 따라 우크라이나와 국제사회의 격렬한 반발 속에서 강제병합 절차가 이달 중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타스통신에 따르면 26일 기준 주민투표율은 루한스크주 83.61%, 도네츠크주 86.89%, 자포리자주 66.43%, 헤르손주 63.58%를 기록해 모두 절반을 넘었다. 해당 지역에 남은 주민 대다수가 러시아계이거나 친러 성향이고 무장 군인의 독려 속에서 투표가 진행돼 개표 시 압도적 찬성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23일(현지시간)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의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 대사관에서 한 시민이 우크라이나 점령지의 러시아 귀속 여부를 결정짓는 투표용지를 들고 있다. 모스크바=타스연합뉴스
투개표 결과를 토대로 러시아는 신속히 병합 절차를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 러시아가 크름반도를 강제 병합할 때에도 주민투표부터 법률 절차 완료까지 채 일주일이 걸리지 않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0일 의회 양원 합동연설에서 합병을 공식 발표할 수 있다고 타스통신이 러시아 하원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의 동원령 선포로 징집되고 있는 러시아군 병사 중 소수민족이 유난히 많다는 지적도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크름반도에서 활동 중인 인권단체를 인용해 최근 이 지역에서 징집된 48명 중 46명이 소수민족인 타타르족이었다고 보도했다. 타타르족은 튀르키예(터키)어를 사용하는 몽골계 소수민족으로, 크름반도에서는 인구의 약 15%를 차지한다.

동원령에 대한 반발도 계속되고 있다. 러시아 독립언론 메디아조나에 따르면 동원령 발표 이후 이날까지 러시아 전역의 징병소와 사무실에 대한 공격은 총 17번 발생했다. NYT는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의 한 마을에서 장병을 모집하던 장교가 징집 대상자인 25세 남성이 쏜 총에 맞아 중태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외교부는 러시아 내 우리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해 24시간 모니터링 등 관련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외교부는 지난 23일 러시아에 있는 모든 공관에 재외국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처를 할 것을 지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당국자는 “시위가 발생하는 장소와 다중 밀집 지역에서 우리 교민의 통행을 자제시키고 안전 정보를 전파하고 있다”고 말했다.
RUSSIA-USA/SNOWDEN
한편 러시아 정부는 연방헌법에 따라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기밀자료를 폭로한 내부고발자 에드워드 스노든(사진)을 시민으로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스노든은 2013년 6월 NSA의 개인정보 수집실태를 폭로한 뒤 러시아로 도피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러시아 시민권 부여로 스노든은 이제 우크라이나에서 싸우도록 징집될 수도 있겠다”고 비꼬았다.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은 모토키 다쓰노리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일본 영사를 간첩 혐의로 체포했다고 타스, AFP 통신이 보도했다. 일본은 최근 열린 유엔 총회에서 러시아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퇴출론을 제기하며 자국의 상임이사국 진출을 노리고 있다.

이병훈 기자, 워싱턴=박영준 특파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