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에 ‘부국과 빈국 차이 설명’ 미 교수 3인

김윤나영 기자 2024. 10. 14. 18: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국가 간 부의 차이를 연구한 다론 아제모을루·사이먼 존슨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교수, 제임스 A 로빈슨 미국 시카고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세 교수를 올해 경제학상 수상자로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세 교수는 왜 어떤 국가는 부유하고 어떤 국가는 가난한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다”며 “국가 간 소득 차이를 줄이는 것은 우리 시대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인데, 수상자들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했다”는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아제모을루와 로빈슨 교수는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라는 저서에서 국가 간 번영의 격차를 만들어내는 제도에 대해 탐구한다. 두 교수는 남한이 번영하고 북한이 빈곤한 것은 제도의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남한은 사유재산이 보장되고 법치주의가 적용되며 자유로운 직업 선택이 보장되는 ‘포용적 경제제도’를 택한 결과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북한은 소수가 더 큰 이익을 챙기는 ‘착취적 경제제도’를 도입했고 빈곤해졌다는 것이다.

아제모을루와 존슨 교수는 ‘기술 발전이 곧 진보’라는 통념에 반박하는 저서 <권력과 진보>를 펴냈다. 두 교수는 기술 그 자체는 인류의 삶에 번영을 가져다 주지 않으며, 권력을 빼놓고는 인류의 진보를 설명할 수 없다고 본다. 일례로 중세에는 농업기술이, 산업혁명 초기에는 산업기술이 각각 발전했지만, 농민과 노동자의 생활수준은 나아지지 않았다. 노동자들은 정치권력을 강화하고서야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었다.

두 교수는 인공지능(AI) 회의론자이기도 하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테크 분야의 많은 리더들이 주장하는 것과 달리,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자신이 약속한 성취의 대부분을 달성하지 못하면서도 노동자 수요는 줄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두 교수는 한국 정치권에서도 이슈가 된 보편적 기본소득론을 ‘패배주의’라고 비판한다. AI 기술이 발전하면 시민들이 무기력하게일자리와 소득을 잃으리라고 전제하기 때문이다. 두 교수는 시민과 노동자들이 권력을 확장해 더 많은 시민이 사회안전망을 누릴 수 있고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기술 발전의 방향을 돌리자고 제안한다.

노벨 물리학상과 경제학상이 AI 회의론자들에게 돌아간 것도 이번 수상의 관전 포인트다. 앞서 노벨위원회는 지난 8일(현지시간)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머신러닝 기초 확립에 기여한 존 홉필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학 명예교수를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AI 전문가인 힌턴 교수는 노벨상 수상 소감에서 “(AI가) 통제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는 위협에 대해 우려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지난 9일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에 오른 AI 전문가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도 “AI는 이로운 일을 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해를 끼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고 했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