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윤 "그럴 리 없어, 당장 방송 막아"

지난해 7월 18일은 가뭄에 단비 같은 날이었다. 24조원 규모인 체코의 원전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한국수력원자력이 선정됐다. 국민의힘 원내지도부와 만찬 중에 소식을 들은 그는 식탁을 “탕” 내려칠 정도로 기뻐했다. 소폭이 두어 순배 돌았다. 분위기가 무르익자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이 나섰다.

“분위기도 좋은데, 그간 못했던 불편한 얘기 조금씩 하시죠.”

22대 총선에서 ‘175(민주당) 대 108(국민의힘)’로 깨진 3개월 후였다. 참석자들은 ‘이때다’ 싶었다.

“아니, 이 좋은 날 뭣 하러 그런 얘길 합니까. 쓸데없이 말이야.”

좌중은 곧장 얼어붙었다. 바른말은 ‘없던 말’이 됐다.

지난해 총선 직전, 의대 정원 문제가 뜨거웠다. ‘막 밀어붙이는 건 아닌데…’란 참모가 많았지만, 말을 못 했다. 이때, 직을 걸고 “안 된다”고 했던 이들이 당시 이관섭 비서실장과 한오섭 정무수석이다. 물류대란의 불을 껐던 이관섭과, 이태원 참사 때 발 빠른 보고로 큰 화를 막았던 한오섭은 유능한 참모였다. 그러나 이들은 “아니다”고 했다가 회의에서 배제됐고, 옷을 벗었다. 다른 참모들에겐 시그널이 됐다.

#자신만의 세계에 갇혔다

22대 총선날이던 4월 10일 저녁, 일부 참모가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를 몇 분 일찍 듣고 보고했다.

“그럴 리가 없어! 당장 방송 막아!”

분노에 찬 목소리가 문밖에서도 들렸다. 선거 전부터 여러 지표가 패배를 가리켰지만 안 믿었다. 대패를 부정선거 탓이라 여겼다. 극우 유튜버들의 주장을 진짜라 믿었다. 집권 초부터 그는 유튜브를 좋아했다. 참모들에게 몇몇 채널을 “꼭 보라”며 권했다. 2023년 4월 국빈 방문 중이던 미국에서도, 알링턴 국립묘지 참배가 예정됐던 날 아침에도 우파 유튜버와 1시간을 통화했다. 지난해 6월 검사 출신 소장파 김웅 전 의원이 라디오에서 눈물로 호소했다.

“꼭 대통령에게 당부드리고 싶다. 제발 유튜브 좀 그만 보시라. 이러다 우리 다 죽는다.”

허사였다. 계엄령의 이유 중 하나가 부정선거론이었다. 기자회견은 네 번이 전부였다. 체포된 1월 15일에도 그는 찾아온 의원들에게 말했다. “레거시 미디어는 편향돼 있다. 잘 정리된 유튜브 정보를 보라.”

https://naver.me/FZ2uXJIt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