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작업은Relationship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시작되었다. 인간은 사람 사이에서 살아간다. 우리는 삶 속에 많은 대상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삶이라는 선물상자 안에는 희, 노, 애, 락이 들어있다. 삶의 다양한 관계 속에 일어나는 하루하루의 이야기들은 점이 되고 선이 되어 끊임없이 생성되고 변화되는 삶으로 각자 ‘인생’이라는 멋진 그림을 그려나간다.
사람이 살면서 제일 힘들고 어려울 때가 언제일까를 곰곰이 생각을 해보니, 사람들과의 관계가 힘들어질 때인 것 같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이 힘들어질 때 위로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고, 내 마음을 편안하게 다 보여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삶을 살아가면서 힘들고 어려운 일이 생겨도 툭툭 털고 힘차게 일어나 또다시 힘을 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나는 이런 생각을 담아 이전 작업에서는Relationship을 주제로 평면 형식의 판화 작업으로 실크스크린, 다색목판, 리놀륨 판, 석판화 등의 다양한 판법으로 작업해왔다. 작업엔 작가인 ‘나’를 둘러싼 다양한 관계의 모습이 표현된다. 가족과의 소중한 기억, 007 인생 가방에 내 삶에 보물과 같은 감사한 인연을 담아내기도 하였고, 현실에서는 사람의 마음을 저울로 계측할 수 없지만 마음의 온도나 무게를 계측할 수 있는 저울, 자 등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마음을 영혼에 달고 온도계로 심장을 계측하고자 눈에 보이지 않는 다양한 관계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했다.
나에게 판화 작업은 작업을 마주 대할 때마다 설레는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특별한 매체이다. 다양한 판법으로 예상할 수 없는 결과를 기다릴 때의 마음과 작품 이미지의 결과를 확인하는 순간들이 나에게는 작업함에 있어 더 집중하게 만드는 힘을 갖는 매력적인 매체로 느껴진다.
또한 복수성을 갖고 있는 판화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졌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전시장에서 벽에 걸린 전시회를 통해서만이 아닌 책이라는 매체를 통한 나만의 작은 전시회로 생각하고 많은 사람들과 함께하고자 하였다. 판화 작업의 이미지와 작업 전 메모했던 글을 함께 책으로 만들어, 관람객이 책을 통해 작가의 작은 전시를 보고 난 후 책 페이지마다 비워 둔 공간을 관람객 본인만의 그림을 그리고, 글로 채워 일기장의 형식으로 만들어 관람객에게 소중하고 의미 있는 시간으로 남기를 바랬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존에 많이 작업해왔던 평면 판화 형식에서 한발 더 나아가 조금 더 자유롭고 확장된 형식의 오브제 및 설치 개념의 판화 작업을 하고 싶었다. 판화 하면 떠올리는 이전에 사용하였던 종이작업에서 확장시켜 흙, 나무를 판으로 이용하여 판화의 복수 이미지를 여러 방식으로 작업을 하였고, 이후 작가의 손을 거치며, 복수성을 가지고 있으나, 같지만 서로 다른 각각의 고유성을 가진 작업들로 태어났다.
공장에서 만들어진 공산품인 똑같은 곰 인형도 눈을 다는 사람에 따라 곰 인형의 느낌과 이미지가 다 달라지듯이, 나는 이번 작업에서 복수성으로 태어난 각각의 작업들을 만날 때마다 나의 작업할 때의 마음을 담아 작업 하나하나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싶었다. 그래서 작품을 만들면서 매우 설렜고, 가끔 TV에 10남매나 둔 어머니의 마음이 들기도 했다. 같은 부모 밑에서 태어나지만, 다 다른 성품과 성향을 가진 형제들이 탄생한 것처럼 작업을 하는 나의 마음은 어머니의 마음으로 정성 들여 작업을 하면서 하나하나 만들어지는 작품들에 더 많은 애정과 마음이 갔다. 이른 시간 작업실에 나가 불을 켰을 때 그들은 나의 바람대로 마치 토이스토리의 인형들처럼 오브제이지만, 서로 관계를 설정하여 놓였을 때마다 다양한 이야기를 생성해 내고 있었다.
나는 나의 작업을 보는 관람자로 하여금 평면작업일 땐 정지되어 있는 한 장을 보고도 한 편의 영화를 본 것과 같은 이야기가 있는 작품으로 상상할 수 있는 순간이 되었으면 좋겠고, 오브제 작업에서는 예술작품이지만, 보는 것만으로도 귀엽고 예쁜 반려동물에게 느끼는 애정과 따뜻함처럼 나의 오브제 작업에서도 생명력이 느껴지길 바란다.
매일 다양한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의 우리들에게 나를 향해 무한히 열려있는 ’반려 오브제’가 되어주길 바란다. 깜깜한 밤에 아무도 없는 집 문을 열고 들어섰을 때, 지치고 힘든 일이 있었을 때에도, 말하지 못하는 예술품이지만, 나의 힘든 일들을 이야기하고 정서적 위로를 받으며, 집안 공기를 따뜻한 온기로 채워 줄 수 있는 그런 힘이 되는 살아 숨 쉬는 감성 공감 예술작품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오늘도 마음에 따스한 情을 담아 작업에 임한다.
Relationship - One fine day - play
Relationship - One fine day - Good mornig
Relationship - couple
Relationship - Hide and Seek
Relationship - Brother run at full speed!! Ⅱ
Relationship - My life time companion
Relationship - Rest
Relationship - Love and war
Relationship - cheer up #1
Relationship - 같지만 다른
Relationship - 날아볼까 Scene #2
Relationship - Hero Scene #4
<넓지만, 깊은 같지만 다른> 전시 전경
신혜영 작가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판화전공 박사졸업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판화전공 석사 졸업
<개인전>
2021년 갤러리도스 기획전, 박사청구전 (도스 갤러리, 서울)
2021년 유나이티드갤러리 초대전 (유나이티드갤러리, 서울)
2021년 갤러리 H 초대전 (인사동 갤러리 H, 서울)
2021년 더 숲 갤러리 초대전 (더 숲 갤러리, 서울)
2017년 여미갤러리 초대전 (여미갤러리, 서산)
2016년 청풍 갤러리 초대전 (청풍 갤러리, 강릉)
2016년 안젤리미술관 초대전 (안젤리미술관, 수원)
2016년 갤러리 MANA 초대전 (MANA갤러리, 서울)
2015년 이즈갤러리 신진작가 초대전 (갤러리 이즈, 서울)
2013년 이즈갤러리 (갤러리 이즈, 서울)
<아트페어>
2021년 PLAS 조형아트페어 (COEX, 서울)
2019년 서울아트쇼Seoul Art Show (COEX, 서울)
2018년 Patron Center Beach Art Fair (서피비치, 양양)
2017년 서울아트쇼Seoul Art Show (COEX, 서울)
2017년 Art ulsan(울산대공원 남문광장 특별전시장, 울산)
2016년 Seoul Modern Art Show (서울, 예술의전당)
2016년 ART BUSAN 2016 아트 부산 국제 아트페어 (부산, BEXCO)
2015년 Singapore - Affordable Art Fair (F1 PirBuilding, Singapore)
2014년 BLANC BLUE HOTEL ART FAIR (그랜드앰배서더, 서울)
2014년 HONG KONG AFFORDABLE ART FAIR (홍콩컨벤션센터, HONG KONG)
2012년 BIAF 부산국제아트페어 (부산, Bexco) 외 다수
<단체전>
2023년 한국판화연구회 전시-판화의 지도2, 대안적 세계관. (제인클래어갤러리, 서울)
2022년한국판화연구회 전시-# 판화지도_NEWTRO (유나이티드갤러리, 서울)
2022년 현대미술작가회 전시- 빛, 색, 그리고 직관 (더 숲 갤러리, 서울)
2021년 판 X 화 ≠ 판 ÷ 화 _ 판화에 행위 감각 사이에서의 고유성과 확장 가능성 (유나이티드갤러리, 서울)
2019년 한국판화연구회 전시-나는 시간의 삶을 산다, 고로 존재한다. (유나이티드갤러리, 서울)
2020년 김포문화재단작은미술관보구곶기획전시_보구곶,情을 새기다. (보구곶 작은미술관, 김포)
2020년 한국판화연구회 전시-판-화, 판화이미지의 과정과 실재=판+화 Process and Reality of Printmaking (유나이티드갤러리, 서울)
2019년 라마다프라자제주호텔미술식당-여행-‘낯섬과 설레임’ 4인 작가초대전 (라마다호텔, 제주)
2019년 한국판화연구회 전시-판화의 시간성 (유나이티드갤러리, 서울)
2018년 한국판화연구회 전시-시간의 리듬,사물에 새긴 흔적 (유나이티드갤러리, 서울)
2018년 은행나무展-꽃비가내리네요 (한전아트센터, 서울)
2017년 리디아갤러리 기획전(리디아갤러리, 서울)
2017년 “한옥일기” 사대문InternationlArtist Community 페이퍼로드(전주한옥)을 향하여 2017년 한국판화연구회 정기전 복제경-복제된 진천의 풍경-(진천군립생거판화미술관,진천) 외 다수
<수상>
2018년 Patron Center Beach Art Fair 선정 작가
2016년 예술과 해커톤: 로봇과 드론- 최우수상,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국립현대미술관
2015년 비상에듀 중등미술 교과서 ‘ 판화’ 작품 선정
2015년 제4회 갤러리이즈신진작가 창작지원 프로그램 선정 작가
2016년 삼전캘린더 선정 작가
2015년 삼전캘린더 선정 작가
2013년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
2013년 서울미술대전 특선 외 다수
청년타임스 정수연 디렉터(syyw0329@naver.com)
해당 콘텐츠뷰의 타임톡 서비스는
파트너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