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도 가족도 다 스트레스” 현대인 60%는 ‘정신 건강’에 문제…수면 문제도 과반[KB웰니스보고서]

2024. 9. 29. 0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금융 KB경영연구소 ‘2024 한국 웰니스 보고서’
스스로 돈 버는 성인 62.5%는 최근 ‘정신 건강’ 문제
주 원인은 ‘경제적 스트레스’…가족과 갈등도 다수
신체 건강도 64.9%가 우려…관심 분야는 ‘숙면·식단관리’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스스로 생계를 이어가는 현대인의 60% 이상이 최근 1년 이내 정신 건강에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어려움, 주변과의 갈등 등에 따라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거나 불면증을 앓는 이들이 적지 않은 영향이다. 또 이같은 정신 건강에 대한 우려가 곧 신체 건강 문제와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다.

돈 버는 2030 청년, 70%는 ‘정신 건강’ 문제

29일 KB금융지주 KB경영연구소가 독립적 경제 활동을 하는 25~69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올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만든 ‘2024 한국 웰니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62.5%는 “1개 이상의 경증 혹은 중증의 정신 건강 문제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정신 건강 문제 경험률은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0대가 71.6%로 가장 높았고 ▷30대 69.8% ▷40대 62.2% ▷50대 61.7% ▷60대 52% 등으로 집계됐다. 나이가 어릴수록 정신 건강 문제를 경험한 비율이 높은 셈이다.

KB금융지주 KB경영연구소 ‘2024 한국 웰니스 보고서’ 발췌.

또 나이가 많을수록 스스로 정신 건강 상태가 건강한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60대 응답자 중 자신의 건강 상태를 ‘건강하다’고 평가한 비율은 49.2%로 절반에 달했다. 반면, 20대의 경우 34.6%에 불과했다.

이들이 경험한 정신 건강 문제 1위는 ‘심각한 스트레스’로 34.1%를 차지했다. 또한 ‘수일간 지속되는 불면증’을 택한 비율은 25.6%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의 기분 변화’(13.4%) 등이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문제의 원인으로는 ‘경제적 어려움’이 33.5%로 가장 많았다. ‘가족·친지와의 갈등, 집안 환경 등의 가정 문제’를 겪은 이들도 32.6%로 유사했다. 이 외에도 ▷진로·취업·승진·이직 등 직장 문제 28% ▷건강 문제 22.7% ▷친구·직장 동료와의 갈등 21.5% 등 순이었다.

KB금융지주 KB경영연구소 ‘2024 한국 웰니스 보고서’ 발췌.

불면증 등 수면 문제를 경험하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수면의 질에 대해 응답자의 25.2% 만이 ‘수면의 질이 좋다’고 답했다. 35.2%는 ‘수면 시간 부족’, 24%는 ‘수면 장애’ 등을 호소해, 10명 중 6명꼴로 수면 문제를 겪는 것으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30분으로 국제보건기구(WHO) 권장 수면 시간인 7~9시간보다 최소 30분 적었다.

숙면 방해 요인으로는 ‘심리적인 스트레스’(62.5%)가 압도적 1위로 조사됐다. 정신 건강과 수면의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된 셈이다. 다음으로는 ‘신체적 피로’(49.8%), ‘불완전한 신진대사’(29.7%), ‘층간 혹은 외부 소음’(19.4%) 등 순이었다.

대부분 정신보다 신체 건강 걱정이 앞서
KB금융지주 KB경영연구소 ‘2024 한국 웰니스 보고서’ 발췌.

많은 이들이 정신적 문제를 호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 건강에 대한 우려는 신체 건강에 비해 크지 않았다. 실제 응답자 중 정신 건강을 “걱정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40.9%에 불과했다. 반면 신체 건강에 대해 ‘걱정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 64.9%로 3분의 2에 달했다.

그러나 정신 건강을 걱정한다고 답한 응답자 대부분(88.9%)은 신체 건강 역시 우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건강에 대해 ‘걱정하는’ 응답자 중 56%만이 정신 건강을 우려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신체 건강 ‘걱정이 없는’ 응답자의 정신 건강에 대한 우려도는 5.9%에 불과했다.

현재 가장 염려되는 건강 문제로는 ‘눈 건강’을 꼽은 응답자가 52.9%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피로감 및 체력·기력’(52.5%), ‘성인병 및 만성질환’(49.1%), ‘치아 건강’(46.3%) 등 순이었다. 5년 후 미래에 염려될 것 같은 건강 분야에 대해서도 현재의 5대 걱정거리와 동일한 항목이 상위 5위에 분포했다.

KB금융지주 KB경영연구소 ‘2024 한국 웰니스 보고서’ 발췌.

성별 및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당뇨·고혈압·고지혈증과 같은 ‘성인병 및 만성질환’을 1순위 걱정거리로 꼽았지만 여성의 경우 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여성은 ‘면역력’과 ‘노화·항산화’ 고민이 상위 5위권에 있었다. ‘눈 건강’은 전 연령대에 걸쳐 순위권에 올랐다. ‘피로감 및 체력·기력’ 저하의 경우 20대부터 40대까지는 공통적으로 가장 큰 고민이라고 응답했다. 그러나 50·60대에서는 각각 하위권 및 순위 밖으로 조사됐다.

관심 있는 건강 관리 분야로는 ‘수면’(48.4%)이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는 식단 관리(47%), 스트레스 관리(46.6%), 체중 감량 방법(44.6%) 등 순으로 고르게 관심이 많았다. 이 중 여성은 식단 관리(50.8%)와 체중 감량 방법(50.3%)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였다. 남성은 수면(48.7%)을 1순위로 꼽은 가운데 ‘운동 방법’(42.1%)에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한편 응답자들은 ‘노화가 시작되는 나이’로 평균 47세를 꼽았다. ‘늘기 시작했다’고 느낄 때를 묻는 질문에는 ‘피부 노화’(54.5%)가 1순위, ‘체력·기력 저하’(51.4%)가 2순위를 차지했다. 또 응답자들은 실제나이 대비 체감나이를 평균적으로 1살 어린 것으로 보고 있었다. 20·30대는 비교적 체감나이를 더 많게, 50·60대는 체감 나이를 더 어리게 인식하고 있었다.

w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