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모든 임무 수행한 뒤 비행 종료…성공 여부 1시간 뒤 발표(종합3보)

윤현성 기자 2023. 5. 25. 18:5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실제 위성 승객을 싣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25일 오후 6시24분 우주로 이륙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모든 비행 절차를 마치며 공식 성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발사 이후 1단 분리, 페어링(위성 덮개) 분리, 2단 분리부터 8기의 탑재위성 분리까지 모든 비행 절차를 수행했다.

이번 누리호 3차 발사가 공식적으로 성공할 경우 '최초의 민간 기업 참여 발사 성공'과 '최초의 실용 위성 발사 성공'이라는 우리나라 우주 역사의 한 획을 긋게 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누리호, 모든 비행 절차 마치며 성공 눈앞…위성 8기 순차 분리
2차 발사처럼 단 분리 순조롭게 진행…19시50분께 공식 발표

[여수=뉴시스] 김선웅 기자 = 25일 전남 여수시 낭도에서 바라본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발사돼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지난 24일 통신문제로 예정된 발사가 하루 연기된 누리호의 3차 발사에서는 1,2차 시험 발사 때와는 달리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민간 위성 등을 포함해 실제 우주 임무를 수행하는 8기의 실용 위성이 누리호에 탑재됐다. 2023.05.25. mangusta@newsis.com

[고흥 나로우주센터=뉴시스]윤현성 기자 = 실제 위성 승객을 싣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25일 오후 6시24분 우주로 이륙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모든 비행 절차를 마치며 공식 성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는 발사 이후 1단 분리, 페어링(위성 덮개) 분리, 2단 분리부터 8기의 탑재위성 분리까지 모든 비행 절차를 수행했다.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현재 데이터를 분석 중이며, 곧 성공 여부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3차 발사는 지난해 성공한 2차 발사와 달리 더 낮은 고도 550㎞를 목표 궤도로 삼았다. 2차 발사 때 위성모사체(더미위성)과 성능검증위성이 탑재됐던 것과 달리 실제 우주 임무를 수행하는 8기의 위성을 쏘아 올렸다. 무거운 더미위성으로 인해 탑재 중량이 모두 1.5톤에 달했던 2차 발사 때와 달리 3차 발사는 가벼운 실용위성들이 실려 탑재 중량이 504㎏에 그친다. 탑재체별로 보면 차세대소형위성 2호 180㎏, 부 탑재위성 7기 60㎏, 위성사출장치 및 어댑터 264㎏이다.

당초 누리호 3차 발사는 전날인 24일 오후 6시24분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준비 작업 도중 오후 3시께 지상의 극저온헬륨 공급용 밸브를 제어 장치에 통신 문제가 발생하며 발사가 취소됐다. 이후 항우연은 약 14시간에 걸친 밤샘 작업 끝에 시스템을 정상화하고 이날 오전 중 누리호 발사 재도전을 공식 발사했다.

[서울=뉴시스] 누리호 3차 발사는 25일 오후 6시24분으로 예정돼있다. 발사 이후에는 1단 분리, 페어링(위성 덮개) 분리, 2단 분리 등의 과정을 거쳐 이륙 783초 뒤 목표 궤도인 550㎞ 상공에 도달해 탑재위성 분리를 시작하게 된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누리호는 이륙 후 125초가 지났을 때 고도 64.5㎞에 도달해 1단을 분리했다. 이륙 234초 뒤엔 고도 204㎞에서 페어링 분리, 272초 뒤엔 고도 258㎞에서 2단 분리를 진행했다.

발사가 하루 미뤄지긴 했으나 발사 예정 시각은 그대로 오후 6시24분으로 유지되며 누리호는 당초 예정됐던 발사 준비 절차를 그대로 진행했다. 오후 3시40분부터 추진제(연료·산화제) 충전 작업을 시작해 1시간35분 뒤인 오후 5시15분께 충전 작업을 모두 마쳤다. 오후 5시14분부터는 누리호를 발사대에 수직으로 세우는 데 활용된 발사체 기립 장치 철수를 시작했다.

이같은 준비 작업을 마친 뒤에는 발사 10분 전인 오후 6시14분부터 미리 프로그램된 발사자동운용(PLO)이 가동되며 발사관제시스템이 자동으로 이륙 전까지의 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발사 카운트다운을 시작했다.

누리호 3차 발사의 목표 궤도인 550㎞에는 이륙 783초 뒤에 도달했다. 이 지점에서 가장 거대한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1차 분리됐다.

이후 20초 간격으로 나머지 7개의 부탑재 위성이 같은 고도로 사출됐다. 위성 분리 순서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 → 져스텍의 'JAC' → 루미르의 'LUMIR-T1' → 카이로스페이스의 'KSAT3U' → 도요샛 1~4호 순이었다.

누리호는 이같은 절차를 모두 마친 뒤 이륙 후 약 1138초(18분 58초)가 지난 뒤 모든 절차를 마치고 비행을 종료했다. 누리호에서 분리된 1단, 페어링, 2단은 한반도 남쪽에서 각각 430㎞, 1585㎞, 2804㎞ 떨어진 해상에 추락했다.

누리호를 타고 우주로 올라간 위성들은 지상 환경 관측, 우주 날씨 관측, 우주방사능 측정, 국산 우주기술의 우주 환경 검증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누리호 3차 발사 날인 25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누리호 발사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전날 PLC 장치 통신 오류로 발사가 연기됐던 누리호는 오늘 오후 6시 24분 재도전에 나섰다. 2023.05.25. kch0523@newsis.com


아직 과기정통부와 항우연은 누리호 성공 여부를 공식 발표하진 않았다. 성공 여부 판단은 30분~1시간여에 걸친 데이터 수신 및 분석 후 이뤄진다. 과기정통부는 누리호 발사 후 약 1시간20분 뒤인 오후 7시50분께 발사 결과를 공식 브리핑할 예정이다.

이번 누리호 3차 발사가 공식적으로 성공할 경우 '최초의 민간 기업 참여 발사 성공'과 '최초의 실용 위성 발사 성공'이라는 우리나라 우주 역사의 한 획을 긋게 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hsyhs@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