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 첫 명시..대기권 재진입·타단도 기술 입증 남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지난 1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부대'를 처음 공개 언급한 가운데 ICBM 화성17형의 대기권 재진입, 타단두 탑재능력은 검증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군에 따르면 북한이 18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발사한 화성17형은 정상 각도(30∼45도)보다 높이 발사됐으며, 정상 발사 시 최대 1만 5000㎞까지 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됐다.
북한의 이날 공개는 화성17형 발사 성공을 계기로 미국을 겨냥해 ICBM 역량·실전 배치 수준이 상당함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지난 1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부대’를 처음 공개 언급한 가운데 ICBM 화성17형의 대기권 재진입, 타단두 탑재능력은 검증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북한이 미국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과시했지만 실전배치를 위한 정확도는 아직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군에 따르면 북한이 18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발사한 화성17형은 정상 각도(30∼45도)보다 높이 발사됐으며, 정상 발사 시 최대 1만 5000㎞까지 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됐다. 화성17형은 앞서 지난 3일 발사 때는 2단 분리까지 성공했고, 이번에 사거리까지 입증된 셈이다.
그러나 대기권 재진입 능력 입증은 과제로 남았다. 대기권 밖으로 나갔던 ICBM이 재진입하는 과정에선 섭씨 6000~7000도에 이르는 고열·고압을 견디며 목표 지점까지 정확히 날아야 한다. 그동안 북한은 고각으로 발사 각도를 높여 비행거리를 줄이는 방식으로 시험발사를 해 왔기 때문에, 대기권 재진입 시험에는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화성17형이 다탄도 기술 확보를 목표로 개발돼 온 점 역시 아직은 물음표다. 북한이 다탄두 개발을 노리는 것은 예컨대 워싱턴·뉴욕 등 여러 지역을 동시 타격하는 동시에 상대 측 요격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인데, 여기에는 탄두 보호·정밀제어 유도기술 등 후추진체(PBV)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 고각으로 쏜 탄두는 재진입 시 수직으로 떨어지는 반면, 정상 각도로 발사된 탄두는 대기권으로 비스듬하게 진입하며 장시간 비행해 많은 열량을 받기 때문이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이번에는 고각 발사였으므로 재진입 상황이 정확하게 보이지 않았을 것”이라며 “북한이 ICBM을 계속 여러 번 발사해서 신뢰성을 확보한 다음에 배치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탄수 탑재 시 무게만큼 사거리가 줄어들 수 밖에 없는데 미 본토 타격이 힘들어진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밴 디펜 전 미 국무부 국제안보 비확산 수석부차관보는 20일 “북한이 정상 각도로 ICBM을 발사하는 역량을 완성하지 못했더라도 굳이 그것을 시험할 필요를 느끼지 않을 수 있다”며 “현재의 기술만으로 역내 위협을 고조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전했다. 지난 3월 발사 실패한 화성17형이 ‘설계 및 운용성’에 대한 초기단계 증명에 목표를 뒀다면, 이번 발사는 ‘무기체계 및 운용의 신뢰성, 전투 성능’ 검열에 목적이 있었다는 것이다.
한편 조선중앙통신은 19일 김 위원장이 화성17형 발사 현지 지도에서 “우리 식의 주체전략무기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들과 모든 전술핵운용부대들에서는 임의의 정황·시각에도 전략적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ICBM 부대를 공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우리 군 역시 부대 소속·명칭을 공식 확인해 준 적은 없다.
다만 국방부는 ICBM 부대가 탄도미사일을 운용하는 전략군 예하에 4개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북한의 이날 공개는 화성17형 발사 성공을 계기로 미국을 겨냥해 ICBM 역량·실전 배치 수준이 상당함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북한이 올해 보도하지 않은 6차례의 발사 중 2월 27일, 3월 5일은 ‘정찰위성 개발용’ 실험이라고 밝히는 등 ICBM과 정찰위성 개발의 투 트랙으로 가는 것으로 보인다”며 “서해위성발사장이 리모델링 중인 것까지 감안하면 ‘핵폭발 능력, 투발 능력, 위성 운용’을 겸비하는 ‘북한식 양탄일성(두개 폭탄과 하나의 인공위성)’을 추진할 가능성도 높다”고 밀했다.
이재연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