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의 비밀 레시피, 다이어트 식단에 등장한 탕평채

조회 402025. 3. 12.

조선 시대 궁중요리였던 ‘탕평채’가 최근 다이어트 음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녹두묵을 주재료로 사용해 탄수화물 함량이 낮고, 고기와 채소가 균형 있게 들어가 영양 면에서도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탕평채는 조선 영조 시대에 당파 싸움을 줄이고 조화를 이루자는 뜻에서 만들어진 음식입니다. ‘탕평’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영조가 탕평책을 시행하면서 이를 상징하는 음식으로 등장했습니다. 음식 색깔도 이를 반영하는데, 녹두묵의 흰색, 미나리의 초록색, 고기의 붉은색, 김의 검은색이 각각 당파를 상징하는 색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탕평채의 핵심 재료인 녹두묵은 예로부터 소화가 잘 되고 단백질이 풍부한 식재료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 숙주, 미나리, 김, 고기볶음 등을 더해 식감을 살리고 영양 균형을 맞췄습니다. 특히 초장으로 버무려 새콤달콤한 맛을 더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조선 시대에는 왕실과 양반가에서 즐겨 먹었지만, 최근에는 저칼로리 건강식으로 다시 주목받으며 다이어트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탕평채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녹두묵을 준비해야 합니다. 공장에서 만든 것을 구입할 수도 있지만, 전통 방식대로 녹두를 불려 껍질을 제거한 후 곱게 갈아 가라앉힌 앙금을 사용해 직접 만들 수도 있습니다. 완성된 녹두묵은 채 썰어 준비하고, 숙주는 데친 후 물기를 빼둡니다. 미나리는 소금에 절였다가 헹궈 볶고, 고기는 간장과 양념을 넣고 볶아둡니다. 달걀은 황백 지단을 만들어 가늘게 채 썰고, 김은 구워서 부숩니다. 이렇게 준비된 재료를 초장과 함께 무쳐 그릇에 담아내면 탕평채가 완성됩니다.

과거에는 음력 3월 삼짇날에 진달래 화전, 화채, 쑥경단과 함께 먹는 절식 음식이었지만, 현대에는 간단한 한 끼 식사로도 충분한 영양을 제공하는 건강식으로 변모했습니다. 특히 고기와 채소가 조화를 이루는 점에서 영양 밸런스가 뛰어나고, 글루텐이 포함되지 않은 묵을 사용해 소화가 잘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탕평채는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조선 왕조가 추구했던 조화와 균형의 철학이 담긴 요리입니다. 한때 궁중에서만 먹던 음식이 이제는 현대인들에게 건강식으로 인식되며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탕평채가 전통을 잇는 동시에 시대의 흐름에 맞춰 변화하는 한국 음식으로 자리 잡을지 기대가 모입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