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m '푸른 종묘' 조풍류, 10년 역작…'풍류, 서울을 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로 5m 화폭에 채색 산수 기법으로 그려낸 푸른 '종묘'를 만나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2012년 인왕산을 처음 화폭에 담은 것을 시작으로 푸른색을 주조로 한 서울 산수 작업에 매진한 이후 현재까지 10여 년 동안 서울을 주제로 채색 산수의 세계를 탐구해 온 작가의 역작들을 선보이는 자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가로 5m 화폭에 채색 산수 기법으로 그려낸 푸른 '종묘'를 만나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화가 조풍류는 '풍류, 서울을 보다' 개인전을 오는 9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에서 펼친다.
2012년 인왕산을 처음 화폭에 담은 것을 시작으로 푸른색을 주조로 한 서울 산수 작업에 매진한 이후 현재까지 10여 년 동안 서울을 주제로 채색 산수의 세계를 탐구해 온 작가의 역작들을 선보이는 자리다.
채색화 기법을 연마하던 2000년대 중반부터 전국 방방곡곡으로 사생을 다니며 아름다운 우리 산천을 화폭에 담았다. 2010년대 초반, 인왕산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아름다움에 눈을 뜬 이후 도시와 자연이 조화롭게 어울린 서울이라는 도시의 진가를 그림으로 기록했다.
특히 서울이라는 도시를 상징하는 영적 공간이자 건축부터 음악(종묘제례악), 춤(종묘제례 일무), 복식, 음식, 제사 등 샤먼적 요소까지 한국미의 정수가 담긴 종묘(宗廟)를 채색 산수화로 그려냈다.
이번 전시도 종묘 작업이 주목된다. 대작 '종묘'(2020)를 시작으로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린 '수묵별미(水墨別美): 한·중 근현대 회화' 전에서 선보인 '종묘 정전'(2023)과 함께 가로 560cm의 대작 '종묘-영녕전'(2024)를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남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전경을 가로 6m 50cm에 이르는 거대한 화폭에 담은 '서울전경도'도 소개한다.
"대학원 시절 산수화의 관조방법(觀照方法)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는 작가는 "어느 한 시점에서 보이는 풍경을 화폭에 옮긴 것이 아니라 남산 전망대를 중심으로 서울의 전경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시점을 반영해, 단순한 풍경화를 넘어 우리 시대 서울의 정취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현대적인 채색 산수화를 완성했다"고 밝혔다. 작품 앞에 서면 마치 그림 안에 들어가 풍경의 한 부분이 된 듯한 느낌을 전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hyu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상혁 "11세 때 아버지 추락사…매년 5월이 힘들어"
- 배현진, 국힘 대선후보 교체에 "말장난 서커슨가…당 원칙에 심대한 도전"
- '희귀병 투병' 이봉주, 마라톤 깜짝 등장…왜?
- 선우용여 "남편, 결혼식날 유치장에…200억 빚 떠안아"
- 유튜버 박위와 결혼 송지은 "2세 계획 있어…꼭 낳겠다"
- 국힘, 김문수 대선 후보 선출 취소·한덕수 후보 등록…초유의 후보교체(종합)
- 이정현, '생후 100일' 둘째 딸 공개 "통잠 자는 효녀"
- "감기로 병원 다녀오다"…뽀빠이 이상용 별세
- 야구 여신 김세연 SBS스포츠 아나운서 결혼한다
- '암투병' 진태현 "안타까워 말고 '화이팅!' 한마디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