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대리운전 기사도 단체교섭 가능한 노조법상 근로자"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리운전 기사도 고용 형태에 따라 단체교섭이 가능한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일 수 있다는 대법원의 첫 판결이 나왔습니다.
오늘(2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1부(주심 노태악 대법관)는 부산의 대리운전 업체 A사가 기사 B씨를 상대로 낸 근로자 지위 부존재 확인 소송에서 원심의 원고패소 판결을 지난달 27일 확정했습니다.
A사는 B씨를 비롯한 기사들과 동업 계약을 체결하고 고객의 요청(콜)이 들어오면 다른 협력 업체들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사들에게 배정하는 사업을 했습니다. B씨는 2017년 10월 동업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후 B씨는 2018년 12월 설립된 '부산 대리운전산업 노동조합'에 가입했고, 노조는 이듬해 1∼2월 A사를 상대로 단체 교섭을 요구했습니다.
A사는 대리기사들이 독립적으로 영업하는 사업자일 뿐 근로자가 아니라며 단체교섭 요구를 거부하고 법원에 소송을 냈습니다.
소송의 쟁점은 대리기사를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임금 등에 의해 생활하는 자'인 노동조합법상 근로자로 볼 수 있는지였습니다. 이는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근로자로 보는 근로기준법의 정의와 다른데, 통상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의 범위가 더 넓게 인정되는 편입니다.
1심과 2심은 모두 B씨가 노동조합법상 근로자라고 보고 A사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A사가 불복했으나 대법원은 4년 넘게 심리한 끝에 같은 결론을 유지했습니다.
대법원은 우선 "B씨는 대리운전 기사로서 그 소득을 A사와 협력업체들로부터 배정받은 고객의 콜을 수행해 받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전속된 정도가 강한 편에 속한다"고 했습니다.
대리운전 기사가 고객으로부터 요금을 직접 받는 것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대리운전 기사만이 현금을 수령할 수 있기 때문으로 대리운전 요금이 원고에게 귀속된 후 원고가 대리운전비를 피고에게 지급하는 절차를 생략한 것"이라고 봤습니다.
대법원은 동업계약서에 따라 기사들이 업체에 내야 하는 수수료, 업무 수행 시 준수할 사항이나 받아야 할 교육 등을 A사가 일방적으로 정할 수 있고 이를 위반할 경우 계약 해지까지 가능했다는 점에서 지휘·감독 관계도 존재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밖에 A사와 B씨의 계약 관계가 상당 기간 지속됐고 B씨가 A사를 통하지 않고는 대리운전업을 수행하기가 사실상 어렵다는 점도 판단 근거가 됐습니다.
대리운전 기사의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성을 대법원이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포르쉐 카이엔 몰면서 임대주택 산다"
- 의대생 '동맹휴학 승인' 나왔다…정부, 감사 예고
- 국민연금, 위탁운용사에 9조원 쓰고도 성과는 '쥐꼬리'
- [단독] 우리은행, 이번엔 55억 사기 사고 발생
- 최근 5년간 압수한 '짝퉁' 756만점…의류 '최다'
- 저축銀 30조 연금런 없다…금감원, 만기·잔액 매월 점검
- 배추 1만 톤 풀고 전기차 보조금 확대…공사비 상승률 관리키로
- 신용점수 960점은 돼야 은행 대출…한도 줄이고 문턱 높이고
- "이통사 24개월 선택약정, 12개월과 혜택 같은데 위약금은 더 커"
- 선거 때면 찾는 경로당 '끝나면 나 몰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