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놀이에 가려진 ‘조류 대학살’…미국선 화약 대신 드론 조명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도 10만발 이상의 화려한 불꽃을 쏘아 올린 '2024 서울세계불꽃축제'가 100만명 이상 시민 관람 속에 치러진 가운데, 해마다 지적돼 온 '불꽃놀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금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해 호주 커틴대학교 연구진이 호주연방과학원(CSIRO)이 발행하는 학술지 '태평양 보존생물학(Pacific Conservation Biology)'에 게재한 연구를 보면, 연구진은 스페인 발렌시아 등에서 열린 불꽃축제가 환경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뒤 중금속 등 오염물질 배출이 적고 소음을 덜 일으키는 '드론 조명 쇼' 등을 불꽃축제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10만발 이상의 화려한 불꽃을 쏘아 올린 ‘2024 서울세계불꽃축제’가 100만명 이상 시민 관람 속에 치러진 가운데, 해마다 지적돼 온 ‘불꽃놀이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금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새들의 이동 경로 교란, 초미세먼지 농도의 급증 등을 고려할 때 불꽃 축제를 대체할 만한 행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7일 전문가들의 설명을 들어보면, 불꽃놀이는 발사포에 화약을 채워놓고 불을 붙여 폭발력으로 화약을 공중으로 쏘아 올리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강렬한 불빛과 굉음이 발생하고, 이산화탄소, 산화질소 등 화학물질과 스트론튬, 구리 등 중금속도 함께 배출된다. 플라스틱 탄피가 낱낱이 분해돼 미세 플라스틱이 되어 강이나 땅에 스며들기도 한다.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열린 ‘서울세계불꽃축제’에선 10만발 이상의 불꽃이 쓰인 걸로 알려졌다.
야간에 길 잃은 새들, 다시 못 날고 죽기도
이런 대규모 불꽃 축제 이후 가장 우려되는 대목은 ‘생태계 교란’이다. 김봉균 충남야생동물관리센터 재활관리사는 이날 한겨레에 “새들은 체온 유지·기압 등의 이유로 야간에 장거리 이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며 “불꽃축제가 열리는 야간에 갑자기 강한 빛이 발산되고 소음으로 진동이 발생하면 교란으로 새들이 이동 경로를 벗어날 수가 있다”고 말했다. 김 재활관리사는 “갑작스러운 교란으로 다른 장소에 불시착한 새들은 에너지가 고갈돼 다시 못 날고 폐사하는 경우도 있어, 단순히 새들의 이동 경로 훼손뿐만 아니라 개체 건강이나 생존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2021년 이탈리아 로마에서는 새해맞이 불꽃놀이 뒤 수백마리의 새 사체가 길에서 발견되기도 했으며, 당시 동물보호단체들은 ‘불꽃놀이로 대학살이 발생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초미세먼지 평균 10배로 급증
화학물질과 중금속 배출로 인한 초미세먼지 농도의 급증 또한 불꽃 축제가 피해갈 수 없는 부작용이다. 지난달 신복자 서울시의회 의원이 보건환경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9월6일 불꽃축제가 시작된 뒤 서울 영등포구의 초미세먼지 수치는 점점 높아지다가 밤 10시께 서울 평균 수치(31㎍/㎥)의 10배가량인 302㎍/㎥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축제 장소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약 3㎞ 떨어진 서울 영등포구 도시대기측정소에서 관측된 결과다.
해외에선 불꽃놀이를 대체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지난해 호주 커틴대학교 연구진이 호주연방과학원(CSIRO)이 발행하는 학술지 ‘태평양 보존생물학(Pacific Conservation Biology)’에 게재한 연구를 보면, 연구진은 스페인 발렌시아 등에서 열린 불꽃축제가 환경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뒤 중금속 등 오염물질 배출이 적고 소음을 덜 일으키는 ‘드론 조명 쇼’ 등을 불꽃축제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실제 지난해 미국 유타주, 콜로라도주 등은 대기 오염과 화재 위험 등의 문제를 줄이기 위해 독립기념일마다 열리던 대규모 불꽃놀이를 ‘드론 쇼’로 대체하기도 했다. 허승은 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은 “단순히 인간의 유희를 위해 축제를 하던 것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우리나라도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등 행정기관에서 불꽃축제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한 자료부터 수집하고 연구 결과를 알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나린 기자 m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부산에 간 한동훈 ‘김건희 행보 자제’ 첫 공개발언
- [단독] 김종인 “명태균, 윤과 첫만남 자리에 있었다…김건희 동석”
- 아침 8시 퇴근하던 경찰, 뒤집힌 차에 갇힌 4명 구했다
- 이준석 “윤 취임 뒤 명태균-김건희 메시지 봤다”…대통령실 반박
- ‘100년만에 최대’…경합주만 초토화 허리케인, 미 대선 흔든다
- 임기 두 달 남은 박민 ‘KBS 개편’ 강행…보수 노조까지 등 돌렸다
- 전쟁은 인간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뉴스룸에서]
- 의사 업무 일부 대신하지만…간호사 30% “범위 모호해 불안”
- [단독] 10대 대기업 국외 배당금 ‘30조’…법인세 수익서 빠졌다
- ‘밤 티라미수’ vs ‘이모카세’…다시 맞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