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마이애미서 돌고래쇼하던 범고래, 50년 만에 바다로 돌아간다

이보배 2023. 3. 31. 20: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에서 50년 동안 갇혀 지내며 관객들에게 돌고래쇼를 공연해 온 범고래가 바다로 돌아가 여생을 보낼 수 있게 됐다.

보도에 따르면 원래 이름이 '토키태'인 롤리타는 미국 워싱턴주 퓨짓사운드 연안 태평양에 사는 '남쪽 주민' 무리로, 추정 나이 약 4살 때인 1970년 잡혀 온 뒤 지금까지 50년 동안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에서 돌고래쇼를 하며 지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에서 50년 동안 갇혀 지내며 관객들에게 돌고래쇼를 공연해 온 범고래가 바다로 돌아가 여생을 보낼 수 있게 됐다.

30일(현지시간) NBC방송은 마이애미 해양수족관과 비영리단체 '롤리타의 친구들', 미국 프로미식축구팀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소유주 짐 어세이가 이날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범고래 '롤리타' 방류 계획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원래 이름이 '토키태'인 롤리타는 미국 워싱턴주 퓨짓사운드 연안 태평양에 사는 '남쪽 주민' 무리로, 추정 나이 약 4살 때인 1970년 잡혀 온 뒤 지금까지 50년 동안 마이애미 해양수족관에서 돌고래쇼를 하며 지냈다.

몸무게가 약 3.5t에 달하는 롤리타의 나이는 57세가량으로 추정되며, 수족관에 갇혀 사는 범고래 중 가장 나이가 많다고 NBC는 전했다.

2005년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 '남쪽 주민' 범고래의 수명은 약 80년으로 알려졌다.

2015년 7월에는 동물보호단체 PETA가 롤리타의 사육 환경이 멸종위기종 보호법에 어긋난다며 마이애미 해양수족관과 모회사인 팰리스 엔터테인먼트를 고발한 적도 있다.

롤리타는 이후 몇 년간 상태가 나빠졌고, 지난해 마이애미 해양수족관 소유권이 MS 레저로 넘어갔다.

롤리타의 상태는 지난해 6월부터 호전됐지만, MS 측은 롤리타를 더 이상 돌고래쇼에 내보내지 않겠다고 밝혔다.

PETA재단 부이사장으로 동물보호법 전문가인 자레드 굿맨은 지난 28일 성명을 통해 "만약 롤리타가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면 지난 몇 년 동안 롤리타의 자유를 위해 수족관 측과 싸우며 시위를 벌여 온 우리 PETA뿐 아니라, 온 세상이 환호성을 지를 것"이라고 밝혔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