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위성 정보털이 북 해커 '김수키' 공개 저격…첫 블랙리스트

2023. 6. 2. 19: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정부가 위성 정보를 터는데 특화된 일명 '김수키', 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커 집단에 칼을 빼들었습니다. 세계 최초로 김수키를 콕 찍어, 제재 리스트에 올리며 북한 도발에 전방위 압박에 돌입합니다. 이어서 조경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정부가 10여 년 전부터 악명 높은 북한 해커 조직 김수키를 대북 독자제재 대상으로 못박았습니다.

▶ 인터뷰 : 이준일 /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 - "5월 31일 북한이 소위 위성 명목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한 데 이어 재차 도발 위협하고 있는 데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대응 의지…."

한미 공동으로 김수키에 대한 보안권고문까지 발표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습니다.

김수키는 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커 집단으로 무기, 항공우주 위성 등 기밀정보 수집에 주력합니다.

지난 2021년에는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우조선해양, 서울대병원을 해킹했고, 지난 2014년에는 한국수력원자력을 해킹해 가동중지 협박까지 했습니다.

외교안보 종사자의 이메일 해킹이 주특기로, 작년에는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실인 것처럼, 최근에는 경찰청을 사칭한 메일을 보냈다 발각됐습니다.

▶ 인터뷰(☎) : 문종현 / 지니언스 시큐리티센터 이사 - "이 사람이 어떤 사람들과 어떤 내용을 주고받았는지 먼저 확인 합니다. 업무와 관련된 내용, 실제 최근 주고받은 내용의 연장선에서 같은 테마로 공격합니다."

외교부 관계자는 "김수키를 특정해 제재를 할 만큼 여러 가지 근거를 갖고 있다"며 "앞으로 찾아내는 것마다 제재 대상에 올릴 것"이라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대북 독자 제재는 이번이 8번째로, 그간 45개 기관과 개인 43명을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MBN뉴스 조경진입니다. 영상취재 : 정재성 기자 영상편집 : 이동민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