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우원씨 “웨어밸리, 전씨 일가 비자금 세탁 창구” 추가 폭로

이유진·이혜리 기자 2023. 3. 16. 21: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두환 ‘자금줄’ 의혹받던 업체…육사 출신 전 비서가 대표
“내 명의로도 수십억” 밝히며 “아버지 형제들은 수백억대”
국회 계류 중인 ‘전두환 재산 추징 3법’ 촉구 목소리 커져
전직 대통령 전두환씨 손자 전우원씨가 인스타그램에 올린 아버지 재용씨(오른쪽)와 새어머니 박상아씨 등과 함께 찍은 가족사진.

전직 대통령 고 전두환씨 손자 전우원씨가 16일 보안업체 웨어밸리 등을 일가의 비자금 세탁 창구로 지목했다.

우원씨는 이날 인스타그램에 올린 영상에서 “비자금이 어떻게 세탁이 됐는지를 좀 더 쉽게 설명하겠다”며 IT보안업체 웨어밸리 등 기업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지목했다. 웨어밸리의 손삼수 대표는 전두환씨 비서를 지낸 육사 출신 전직 군인이다. 웨어밸리는 그간 전두환 일가의 ‘자금줄’이란 의혹을 받았으나 가족이 이를 구체적으로 인정한 것은 처음이다.

우원씨는 “전두환이 경호원들에게 지급한 돈으로 회사가 설립됐고, 비상장 주식 지분을 저와 제 친형이 받았다”고 주장했다. 우원씨는 아버지 전재용씨가 2016년 탈세 혐의로 노역을 하고 나와 “돈이 없다”며 웨어밸리 주식을 새어머니 박상아씨에게 양도하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재용씨는 2016년 탈세 혐의로 확정된 벌금을 내지 못해 교도소에서 청소하며 벌금을 감액받은 바 있다. 당시 재용씨 일당이 400만원으로 알려지면서 ‘황제노역’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우원씨는 “전두환의 경호원 중 누군가 웨어밸리를 설립, 그 주식이 저희에게 지급됐고 새어머니에게 양도됐다는 점은 법적으로 증명이 가능하다”고 했다. 다만 전두환씨의 비자금이 경호원에게 전달된 부분은 증명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렇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이들의 범죄 행각과 방식을 밝히는 것”이라고 했다.

웨어밸리는 2001년 전씨의 차남 재용씨가 설립한 회사로 2003년 10월 현 대표인 손삼수씨에게 회사가 넘어갔다. 2013년 당시 서울중앙지검 ‘전두환 일가 미납 추징금’ 특별환수팀은 웨어밸리에 전씨의 비자금이 유입된 사실을 확인하고 회사를 인수한 손씨로부터 5억5000만원을 환수했다.

우원씨는 웨어밸리 주식 외에도 비엘에셋이라는 회사의 지분 20%, 준아트빌이라는 고급 부동산이 자신의 명의로 넘어왔다며 모두 수십억원대 규모라고 밝혔다. 아버지의 형제들인 전재국씨와 전재만씨, 그리고 사촌 형제들이 물려받은 비자금 규모에 대해선 “(저희보다) 무조건 더 많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재국씨가 바지사장을 내세워 운영하는 회사만 제가 아는 게 몇백억원 규모”라면서 시공사, 허브빌리지, 나스미디어 등을 언급했다.

우원씨의 폭로로 국회에 계류 중인 ‘전두환 재산 추징 3법’ 통과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추징 3법은 전두환씨로부터 친족이나 제3자가 상속·증여받은 불법 재산을 몰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몰수 대상도 물건으로 한정하지 않고 금전과 그 밖의 재산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두환씨 사망 이듬해인 2020년 6월 발의됐다.

검찰은 우원씨의 전두환 일가 비자금 폭로와 관련해 수사 필요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씨는 1997년 4월 내란·뇌물수수 등 혐의로 대법원에서 무기징역과 추징금 2205억원을 확정받았다. 현재까지 1283억원을 추징해 922억원이 남았다.

이유진·이혜리 기자 yjle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