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적금 차이, 뜻, 이자계산 방법은]
돈을 모으고 싶은 사람에게는 재테크가 필수죠.
어떤 투자를 하기에 앞서 목돈 모으기는 굉장히 중요한데요.
씨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예금과 적금을 통해 돈눈덩이를 크게 만들어야 합니다.
예금과 적금 차이, 뜻, 이자계산 방법에 대해 알게쉽게 알려드릴게요.
1.뜻
2. 예금 적금 차이
3.이자계산 방법
4. 마무리
정기예금 적금 뜻
정기예금이란 한마디로 목돈을 한꺼번에 은행에 맡기면서 이자를 받는걸 말합니다.
정기예금은 은행마다 여러가지 상품이 있어요.
가입기간은 3개월부터 3년까지가 보통입니다.
가입할 때 우리에게 좋은 조건으로 찾아야하는데요. 금리가 높은 상품으로 선택해야겠죠.
금리적용 방식은 두 가지 입니다.
첫번째 복리식
두번째 단리식
복리식은 매월 발생한 이.자도 함께 포함해서 이.자를 주는 것이고, 단리식은 정해진 금액에 일정한 이자만 받을 수 있는거죠.
복리의 마법이라고 하죠? 복리식이 훨씬 좋습니다.
정기적금은 매월 혹은 매 주기마다 계약한 일정 금액을 납입하고 이자를 받는 것을 말합니다.
매월 낸 금액을 맡긴 기간으로 계산해서 이.자를 받고 만기 후에 원금과 이.자를 합해 수령할 수 있죠.
가입기간과 금액을 내가 선택할 수 있어요. 내 상황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면 됩니다.
예금과 적금 차이
뜻 설명을 읽어보셨다시피 예금과 적금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죠.
쉽게 말하면 다달이 일정한 금액을 넣는건 적금이고 목돈을 한꺼번에 넣는건 예금이다라고 생각하면 쉬운데요.
목돈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적금을 넣어야겠죠.
이자계산방법
그렇다면 예금과 적금 이자 계산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적금과 예금의 차이점을 잘 알고 금융계산기 활용을 잘해야 유리한 재테크를 할 수 있습니다.
미리 포트폴리오를 세우는것이 중요합니다.
보통 적금, 예금 구분없이 금리가 높으면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거 아닌가?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통상적으로 적금 금리가 높게 제시되어도 계산에 따라 예금의 금리가 더 많이 주어지기 때문에 이자 계산방법을 잘 해야 합니다.
네이버에서 이자계산기라고 검색하면 쉽게 계산이 가능해요.
적금계산을 한번 해볼까요?
예를들어 내가 만약 100만원씩 5%의 금리 상품에 가입한다면 이자 계산방법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월 100만원씩 x 12개월(1년) 해서 원금 합계는 1200만원이 되고 이자 325,000원이 붙게 됩니다.
여기서 과세 15.4%인 50,050원을 제외하고 세후 274,950원이 됩니다.
원금포함 12,274,950원를 만기 때 받을 수 있는거죠.
어떤 분들은 겨우 27만원밖에 안되냐고 할 수 있는데요.
적.금은 이자를 받기 위한 것도 있지만 목돈을 만드는 시스템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예금 이자 계산을 해볼까요?
앞에서 모은 1200만원을 1년 4%의 예금에 예치하면 이자는 얼마나 될지 궁금한데요.
세전이자 480,000원이고 과세 73,920원 빼면 세후 406,080원을 받을 수 있네요.
만기수령시 원금포함 12,406,080원을 받을 수 있어요.
적금5% 예금 4%로 계산했는데 예금의 이자가 더 높은걸을 알 수 있죠..
금리가 낮아도 정기예금 특성 상 기간이 늘어날수록 수익이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목돈을 만드는 적.금과 목돈을 굴릴 수 있는 정기예.금의 차이입니다.
경제 다이어리 한 줄
예금과 적금 뜻, 차이, 이자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사회초년생들이라면 생소한 단어일 수 있는데 내 상황에 맞게 선택해서 재테크를 하면 되겠다.
아직 모은 돈이 없다면 적금을 통해 목돈을 만들고 예금으로 돈을 불린 후 일정한 금액이 되면 그 때 부터 투자를 해도 늦지 않다.
1금융권에서 했을 때 이자 포함 5천만 원까지 예금자보호도 되니 얼른 실행에 옮기길!
해당 콘텐츠뷰의 타임톡 서비스는
파트너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