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중국사업 한물 갔대”…대륙에서 통한 K기업들 비결 뭐길래

송광섭 특파원(song.kwangsub@mk.co.kr), 이유진 기자(youzhen@mk.co.kr), 김희수 기자(heat@mk.co.kr) 2024. 10. 15. 18: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최대 자동차 부품업체인 만도는 올해 들어 중국 전기차 업체와 교류가 크게 늘고 있다.

전 세계에서 홀로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 정체)'을 피해가고 있는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만도가 생산하는 부품을 앞다퉈 사가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화장품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업체인 코스맥스도 중국 시장에 잘 안착한 기업 중 하나다.

그럼에도 세계 최대 시장 중 하나인 중국을 정면 돌파하고 있는 국내 기업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업들 中엑소더스 와중에
ODM·현지화 전략 승부수
만도, 상반기 中매출 1조원
코스맥스·오리온도 대성공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중국 하이난 면세점 [사진 = 신화 연합뉴스]
국내 최대 자동차 부품업체인 만도는 올해 들어 중국 전기차 업체와 교류가 크게 늘고 있다. 전 세계에서 홀로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 정체)’을 피해가고 있는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만도가 생산하는 부품을 앞다퉈 사가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 고객사로는 지리차, 니오, 장성기차 등이 대표적이다. 중국 내 매출도 빠르게 늘어 올해 상반기에만 1조원을 넘어섰다. 이는 2019년 한 해 매출과 맞먹는 규모다.

증권가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지속돼 올해 하반기에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둘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온다. 유지웅 디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이에 대해 “만도가 (중국 현지 업체에) 완성차 레벨2 통합제어시스템(DCU)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그들과 파트너십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국내 화장품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업체인 코스맥스도 중국 시장에 잘 안착한 기업 중 하나다. 한국 화장품은 2010년 이후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서울 명동 일대 화장품 매장마다 중국인 관광객들로 붐비던 시절이다. 그러다 2016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태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중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입지는 급격히 위축됐다.

그럼에도 코스맥스는 중국 사업을 뚝심있게 이어갔다. 그 결과 2004년 중국 진출 이후 매출은 꾸준히 성장해 2021년에는 6000억원을 넘어섰다. 중국 진출 20주년을 맞아 올해에는 상하이에 연구개발·생산 통합 기지를 지을 예정이다. 중국 시장을 발판 삼아 세계로 나아간다는 구상이다.

국내 대표 제과업체인 오리온의 성공 사례도 빼놓을 수 없다. 오리온은 1993년 처음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한 뒤 자사의 제품인 초코파이, 스윙칩, 오!감자, 예감, 고래밥 등을 현지화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실제 중국 마트에서는 오리온의 중국명인 ‘하오리요우(好麗友·좋은 친구)’의 제품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덕분에 오리온의 중국 사업 매출은 수년째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팬데믹 이후 중국을 떠나는 국내 기업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른바 ‘脫중국’이다. 원인 또한 다양하다. 중국의 기술력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어 현지 기업과 경쟁에서 밀리거나, 미·중 패권 경쟁에 따른 공급망 재편이 빨라지면서 ‘중국 대체지’를 찾기 위해 떠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세계 최대 시장 중 하나인 중국을 정면 돌파하고 있는 국내 기업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들 기업은 중국의 값싼 노동력을 활용해 제품을 만들어 제3국으로 수출하던 과거 전략에서 벗어나, 기술력을 앞세워 중국 현지 고객의 수요를 총족하는 방식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조상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중국 현지화에 성공한 한국 기업은 중국을 단일 시장으로 보지 않았다”며 “베이징·상하이 등 대도시는 하나의 국가만큼 크기 때문에 시장을 잘게 나누고 맞춤형 전략을 세운 기업만 살아남았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