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건설경기, 올해보다 더 위축..."건설투자 1.2% 감소"

조회 5632024. 11. 26.

내년 건설투자 300조 하회
수도권 매매·전세 1~2% 상승
건정연, 2025년 건설·주택 경기전망…"수도권·지방 양극화 심화"

내년도 건설경기가 올해보다 더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따라 수도권 매매·전세 가격은 올해보다 최대 2%쯤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26일 서울 동작구 전문건설회관에서 열린 연구원 주최 '2025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수도권 매매, 전세가격이 올해보다 1~2% 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덧붙였다.

아파트 건설 현장. / 생생비즈

박 연구위원은 "올해 물량 감소, 경쟁 심화, 이익률 저하 등으로 건설업계 체감 경기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건축 착공이 2022~2023년 큰 폭으로 줄어들어 내년까지 건설경기 부진은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그는 구체적으로 "내년 건설 투자가 연간 1.2% 감소하며 금액 기준으로 300조원을 하회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다만 박 연구위원은 "건축 착공과 같은 선행지표가 최근 회복세를 보인다는 점에서 내년 하반기나 2026년 상반기에는 건설경기가 회복국면으로 들어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내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해 "수도권과 지방 간, 아파트와 비아파트 간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올해 주택 시장이 지난해보다 전반적으로 상승했지만 이는 수도권 주택 가격이 전국 주택 가격을 견인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수도권에서는 주택 가격이 올랐지만 지방에서는 가격이 떨어지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고 부연구위원은 "내년 주택 시장에서도 수도권과 지방 간, 아파트와 비아파트 간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수도권 매매와 전세가격은 1~2% 가량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이어 "내년 주택 시장에서는 전고점 대비 낮은 주택 가격과 상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에 실수요자 중심의 매수 심리가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김희수 원장은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부가 추진 중인 주택 공급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지방경기 활성화와 중소 건설사 지원 등 정부의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