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서버 국산화율 11.1%·스토리지 6.7%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데이터센터 중요성과 산업 파급력이 커지고 있지만 장비 국산화율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구성하는 서버, 공조, 난방,전력 등 핵심 장비 국산화율 미비는 데이터센터 구축과 운영이 국내 관련 산업의 파급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받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방은주 기자)데이터센터 중요성과 산업 파급력이 커지고 있지만 장비 국산화율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박민규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요청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핵심인 서버(Server) 국산 비율은 11.1%,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인 스토리지(Storage)는 6.7%로 나타났다. 스토리지는 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로 구성된다.
특히 민간 데이터센터는 기반시설인 발전기와 공랭식 냉동기 국산화율이 0%였고, 역시 핵심 기반시설이자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UPS)의국산장비 사용 비율은 8%에 불과했다. 많은 기업과 기관이 자체 전산실을 운영하는 대신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임대해 사용중인데,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디지털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데이터센터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데이터센터는 1개 동에 서버 10만대 이상의 하이퍼스케일(hyper scale)급으로 구축하는 추세고, 1개 동 건축에 1조원 단위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이를 구성하는 서버, 공조, 난방,전력 등 핵심 장비 국산화율 미비는 데이터센터 구축과 운영이 국내 관련 산업의 파급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받았다.
박민규 의원은 "과기정통부의 'K 클라우드 프로젝트' 사업이 있지만 해당 사업은 AI반도체 응용실증지원, 고성능컴퓨터 지원, AI 바우처 등으로 구성돼 데이터센터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세부사업은 찾아보기 어렵다"면서 "지능정보화 기본법 시행령에 민간 데이터센터 해외시장 진출 지원도 명시했지만 막상 외산 장비로만 만들어지는 데이터센터라면 해외진출을 통한 효과는 반감될 수 밖에 없다. 테이터센터 활성화가 산업 생태계 조성에 제대로 기여하기 위해선 장비 국산화에 보다 초점을 맞춘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방은주 기자(ejbang@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I 투자에 진심인 MS, 데이터센터 임차 비용만 140兆 넘었다
- 구글, 태국에 1조4천억 데이터센터 짓는다..."아시아 확장 가속"
- "요즘 누가 새 차를 사"…자동차, 이젠 빌리는 시대
- '챗GPT 아버지' 샘 알트먼, 직접 입 열었다…GPT-5 연내 출시설에 '발끈'
- HPSP·예스티, 특허 심결 두고 입장차 '극명'…소송 연장전 돌입 예고
- 메타, 촉감을 느끼는 로봇 손 만든다…국내 업체도 참여
- 삼성, AI 넣은 90만원대 '갤럭시S24 FE' 출시
- LG엔솔 김동명 "美 대선 여파 없을 것"
- [1분건강] 단풍 보러 등산하다 낙엽밟고 ‘꽈당’
- 테슬라 웃고 K배터리 울고…희비 가른 ‘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