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꺾였다는데 실화야…밥값 무서운데 폭염 전기료는 더 겁나

이희조 기자(love@mk.co.kr) 2023. 6. 2. 21: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월 소비자물가 3.3% 상승
2021년 10월 이후 최저치
전기·수도·가스료 23% 급등
외식 가격도 7% 오르면서
서민 비용 부담은 확 늘어
[사진=연합뉴스]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 초반대로 내려오면서 1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물가 상승률은 한동안 둔화할 가능성이 크지만 연말께 다시 상승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 지난해 물가 상승에 따른 고통은 청년보다 고령층, 상류층보다 중산층이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3.3%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21년 10월(3.2%) 이후로 가장 낮은 수치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까지 올랐다가 점점 내려와 올해 1월에는 5.2%를 기록했다. 이어 4월부터는 3%대로 내려앉았다.

올 상반기 지속적으로 물가 상승 폭이 둔화된 가장 큰 배경은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물가가 크게 올랐기 때문에 올해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는 의미다.

지난달에는 석유류 가격이 전반적인 물가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석유류 가격은 1년 전보다 18% 내렸다. 이는 2020년 5월(-18.7%)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종류별로 보면 경유는 24%, 휘발유는 16.5%, 자동차용 LPG는 13.1%가 각각 하락했다.

전체 물가 상승률에 대한 석유류의 기여도는 -0.99%포인트였다. 석유류 가격이 물가 상승률을 1%포인트 가까이 낮추는 데 기여했다는 뜻이다. 농·축·수산물 가격도 1년 전보다 0.3% 내리면서 물가 상승률을 0.03%포인트 떨어뜨렸다.

반대로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인해 23.2% 올랐다. 4월(23.7%)에 이은 두 달째 20%대 상승률이다. 외식 가격 역시 6.9% 상승했다. 집세는 1년 전과 비교하면 0.6% 상승했지만, 전월과 비교할 때는 0.1% 내렸다. 최근의 전셋값 하락세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소비자물가보다 상승률이 더디게 떨어지고 있다. 근원물가 지표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4.3% 올랐다. 전월(4.6%)보다 0.3%포인트 줄어든 상승 폭이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4월 4%에서 5월 3.9%로 0.1%포인트 내렸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전월세, 식품 물가 등이 꺾이기 시작한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라며 “에너지 하락 등 물가가 하향 안정화 흐름이 전개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관가에서는 다음달부터 물가가 2%대에 본격적으로 진입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물가는 올 하반기 안정을 찾아갈 전망이지만 연말이 되면 물가 상승률이 다시 뛸 가능성도 점쳐진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중반까지 뚜렷한 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2%대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으나 이후 다시 높아져 등락하다가 연말쯤에는 3%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물가 상승에 따른 부담은 청년보다 노인이, 고소득층보다는 저소득층에게 컸던 것으로 파악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주가 60세 이상인 가계의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3%로, 39세 이하(4.9%)와 40~49세(5.1%)보다 높게 나타났다. 65세 이상의 물가 상승률도 5.2%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소득 수준별로 나눠보면 지난해 소득 하위 20%의 물가 상승률은 5.1%로, 상위 20%(5%)보다 0.1%포인트 높았다. 가구원 수로 보면 1인 가구의 물가 상승률이 4.8%로 2인 이상(5.1%)보다 낮았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