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주 LA, 현지 분위기는?

정유진 2020. 11. 3. 10: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미국 현지 연결해 분위기 살펴보겠습니다.

선거인단이 55명으로 가장 많은 곳이죠.

민주당 강세지역인 서부 캘리포니아주 LA에 거주하는 김은경 리포터 들리시나요?

캘리포니아 다음으로 선거인단이 많은 곳입니다.

공화당의 텃밭인 중부의 텍사스주는 선거인단 38명입니다.

오스틴 지역에 계시는 안미향 리포터 연결돼있습니다.

먼저 미 캘리포니아주 LA 분위기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김은경 리포터, 현지 시간으로는 투표일까지 아직 하루가 남았는데요. 현지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김은경]

네, 이곳 캘리포니아주 역시 다른 주와 마찬가지로, 대선 분위기가 한창입니다.

이미 우편투표는 진작에 시작이 돼서, 투표를 이미 마친 유권자들도 상당수인 것으로 나타났고, 온라인 상에서도, 투표를 하자 또는 자신은 이미 투표를 했다는 스티커를 찍은 게시물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최근 불거진 블랙라이브스 매러 폭동과 또 코로나 사태에 대한 정부의 대응 등이 대선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을 증폭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대선 당일 현장 투표는 몇시에 시작됩니까?

당선자 윤곽은 언제쯤 나올 것으로 예상되나요?

[김은경]

투표는 이 곳 시간으로 이미 시작이 됐습니다.

캘리포니아주는 이미 일부 카운티에서 지난주 금요일부터 사전 투표소가 오픈이 된 상태입니다.

선거 당일은 3일에는 오전 7시부터 저녁 8시까지 투표소가 열리게 됩니다.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우편투표로 이미 선거에 참여한 유권지 28%가량이 투표를 마친 상태입니다.)

지난 2016년 대선 당시에는 선거일을 넘긴 새벽 2시 24분 경에 결과가 발표된 바 있는대요.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로 인해서 우편투표를 실시하는 유권자들이 상당히 많고, 각 주마다 우편투표 마감과 개표 시간등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최종 결과 까지는 지난 대선보다 더 오랜 시간일 걸릴 것이라는 예상입니다.

[앵커]

말씀하신것처럼, 캘리포니아지역은 최근 인종문제로 불거진 과격한 시위도 발생했는데요.

대선 결과에 더 촉각을 세우고 있다구요?

[김은경]

그렇습니다. 블랙라이브스매러 폭동은 특히나 인종문제와 관련해서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권에서도 민감한 사안중 하나인데요.

만약에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을 한다면, 또다시 폭동이 발생할것이라는 추측이 만연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만약에 사태를 대비해서, 비상식량을 구비해놓은 한인들도 있고, 또 만약 재선뉴스가 나온다면, 상점 문을 닫고 폭동에 대비할 것이라는 업주들도 상당수 입니다.

[앵커]

캘리포니아주는 민주당 텃밭 중 한 곳 인데요, 한인들 표심은 어떤지 먼저 현지 인터뷰 들어볼까요?

[낸시 킴 / 미 캘리포니아주 LA 유권자 : 원래는 민주당이었는데 이번에는 트럼프, 공화당을 지지했습니다. (이유가 있으세요?) 바이든보다 트럼프가 훨씬 나은 거 같아서 지지했습니다.]

[마이클 리 / 미 캘리포니아주 LA 유권자 : 바이든을 지지했는데 아직 심지를 굳히지 않았어요. 하루 이틀 더 생각해보다가, 뉴스 좀 듣고 결정하려고. 그런데 한 50%는 바이든에 쏠리는 거 같아요. 제 생각에는.]

[앵커]

한인들 어떤 분위기인지 정리해주실까요?

[김은경]

캘리포니아주는 민주당 텃밭으로, 미국내에서 가장 많은 55쉰다섯 명의 선건인단의 표가 바이든에게로 갈 확률이 높게 점쳐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캘리포니아주내 모든 한인들이 바이든 후보를 지지하고 있진 않습니다.

다수의 한인들은 이민관련 이슈에 더 진보적인 민주당을 지지하고는 있지만, 바이든후보가 미국의 대선후보로 적당하지 않다는 이유로 트럼프를 지지하는 한인들 역시 상당수입니다.

[앵커]

이번 선거에는 특히 각 선출직에 다수의 한인 후보들이 도전했죠?

[김은경]

그렇습니다. 먼저 하원의원에 도전장을 낸 한인 후보 영김과 미셸 박 스틸, 그리고 데이빗 김등 이번 선거에는 크고 작은 주요 관리직에 캘리포니아주에서 한인 후보들 10명이 훌쩍넘는 한인 1세와 2세 후보자들이 도전한 상태입니다.

한인들이 밀집해 있는 LA지역 최초의 한인 시의원인 데이빗 류 후보 역시 이번에 재선에 나선 상태입니다.

[앵커]

주위를 보면 한인들의 이번 대선 관심도가 어떤지? 높은 투표 참여가 예상되십니까?

[김은경]

네, 앞서 말씀드린대로, 이번 선거에는 특히 한인후보들의 활동이 두드러진 만큼 선거에 대해서 한인들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모습입니다.

또, 코로나 19에 대한 정부의 대처와, 코로나로 인한 경제 타격, 그리고 폭동 등으로 인해서 한인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대선 참여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YTN 이벤트 참여하고 아이패드, 에어팟 받아 가세요!

▶ 대한민국 대표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