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워서 움츠러든 자세 계속된다면, '근막통증증후군' 나타날 수 있다 !?

조회 5532023. 11. 29.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갑자기 추워진 날씨움츠러든 자세가 계속되면서
어깨와 목 주변에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아졌어요!

흔히 ‘ 어깨가 뭉쳤다’고 표현하며 참는 경우가 많은데
근막통증증후군’일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해요.

오랫동안 방치하면 주위 근육으로 통증 유발점이 퍼져서
통증 범위가 넓어지고 만성화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24일 의료계에 따르면 근막통증 증후군
주로 목부터 어깨, 등까지 이어지는 승모근에 발생하며,
수축한 근육단단한 띠처럼 굳어지며 통증이 발생한다고 해요!

근막통증 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근육통입니다.
이같은 통증은 주기적으로 오래 지속될 수 있고,
깊고 넓게 분산돼 쑤시는 느낌으로도 나타날 수 있어요.

현재 근막통증증후군을 진단할 검사나 영상 의학 검사는 없습니다.
진단은 국소적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며
통증 유발점을 압박할 때 압통이나 연관통이 발생하지,
신경학적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 임상적으로 근근막 통증 증후군으로 봅니다!

그러나 이같은 근막통증증후군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주위 근육으로 통증 유발점이 퍼져서 통증 범위가 넓어지고
만성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
해요.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한편, 근막통증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에는 스트레칭,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선 스트레칭통증을 유발하는 경직된 근육을 반복적으로 이완시켜
근육의 경직을 완화하거나 풀어주는 방법
입니다.

물리치료의 경우 온열 램프를 사용하거나
기계적 자극을 이용한 초음파 치료, 저에너지 레이저 치료, 전기 치료 등
방법들이 있어요.

약물치료소염진통제, 근육 이완제, 진정제 등을 사용해요!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해 주지만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닙니다.

따라서 겨울철 평소에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
근막통증증후군을 예방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합니다!

장기간 움츠린 자세작업을 하거나 가만히 있으면
근막통증 증후군이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근막통증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틈틈이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풀어주고
바른 자세를 갖기 위해 노력
해야 해요!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