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 외당숙이 직접 '3대'가 사는 숲 속 주택 설계했더니..

조회수 2023. 9. 28. 07:5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2층 집, 다락에서 살고있는 콩이입니다. 저희 가족은 할머니부터 자녀들인 저희 세대까지 3대가 함께 살고 있는 행복한 대가족이에요 :)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인 만큼 함께 또는 각자 쉬고 즐기며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집을 짓는게 저희의 꿈이자 목표였습니다. 그렇게 고민하며 긴 시간을 보내는 중 좋은 기회가 생겨 건축을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건축가이신 외당숙이 직접 설계해주신 우리 가족만의 특별한 드림 하우스, 완공된 지 이제 한 달 정도 된 따끈한 신축하우스에요. 입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여전히 정리하며 채워가고 있지만 전반적인 집과 저만의 공간인 다락까지 소개해드릴게요.

도면

자녀 세대가 많아 각자의 개인 공간 확보가 가장 중요했어요. 그래서 작은 방들을 여러 개 만들었고 크고 작은 화장실 3개와 2층 다락까지 만들게 되었습니다. 모든 방들에 채광이 잘 들고 집 주변으로 펼쳐있는 자연이 담겼으면 하는 고민을 하다 일자로 긴 형태의 집이 나오게 됐어요.

집이 앞, 뒤로 짧아 바람이 지나가는 길이 복잡하지 않다보니 통풍과 환기 또한 좋은 집이 되었습니다. 자연을 최대한 누릴 수 있도록 데크를 앞, 뒤로 두었습니다. 건축 자재 값이 정말 많이 올라 고민을 하다 목조 주택을 짓게 되었어요.


건축 과정

땅을 고르게 펴고 축대를 쌓고, 우물을 파고 집 짓기 전에도 해야할 일들이 정말 많았답니다.

중간에 많은 과정들이 생략되었는데요. 모든 순간이 꿈에 한 발 한 발 다가가는 듯한 벅찬 순간들이었어요.


외관 & 앞마당

좁은 시골 길을 따라 올라오다 보면 길 끝에서 저희 집을 만나실 수 있는데요. 웰컴 벤치가 반겨주고 주차장, 돌 계단과 대리석 계단이 있습니다.


위로 올라오시면 보이는 저희 집의 전경인데요. 옆으로 길게 지어진 집이라 한 컷에 담기는 조금 어렵네요. 앞마당에는 잔디와 돌길 그리고 작은 화단들이 곳곳 있습니다.

데크에는 파고라를 설치했고 한 켠에는 소나무가 심겨져 있어요. 몇 개의 의자와 상을 있어 가족들이 낮잠을 자기도 하고 다과를 먹기도 해요.

새를 좋아하는 엄마는 망원경으로 새 관찰도 하신답니다. 데크에 앉아서 펼쳐지는 풍경과 새소리 속에서 차를 마시는 시간은 어느 호텔에서도 누릴 수 없는 휴식과 힐링 타임이랍니다.


데크에 앉아서 바라보는 측면과 정면 풍경. 앞에 농원이 있는데 봄에는 벚꽃과 수국이 너무 예쁘게 핀답니다.

집 건너편 농원에서 바라보는 노을과 저희 집입니다.


현관

돌길을 따라 집 왼편으로 들어오시면 집 뒤로 숨어있는 현관을 만나실 수 있는데요.

현관 옆으로 잠시 앉아서 쉴 수 있는 벤치도 있구요.

저희 집 귀요미 아기 고양이 여니, 하비의 공간이기도 합니다.

밤에 보는 현관도 참 좋아요.

현관문을 열고 들어오면 신발장들이 있는데요. 가족이 많은 만큼 신발도 많아 신발장을 크게 만들었습니다. 깨끗하게 올 화이트로 천장 그리고 하단에는 센서등을 달았습니다.


1층 / 거실

현관에서 들어오면 거실이 보입니다. 벽과 바닥색을 따라 가구들도 화이트 앤 우드 조합으로 맞춰봤는데요.

거실 창을 크게 두어 자연이 집안으로 들어오는 효과를 극대화 하였습니다. 창이 크니 채광이 굉장이 좋아요. 아침부터 저녁까지 집안으로 들어오는 각각 다른 빛을 느끼는 재미가 있답니다. 또, 앞 데크를 연결시켜 개방감이 크게 느껴지는데요. 데크에 앉아있으면 집에 있으면서도 외기를 느낄 수 있어서 거실 안과는 또 다른 기분이에요.


집안의 모든 등은 따뜻한 느낌의 등으로 통일했는데요. 거실과 주방은 특히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자리이며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간이라 메인등 및 간접등을 다양하게 두었습니다.


소파는 가족들이 두루두루 앉을 수 있도록 넉넉한 사이즈와 전체적인 집의 톤과 잘 어울리는 아이보리 크림색을 선택했습니다. 촉감도 부드럽고 편안해서 가족들 모두 소파 위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요.

테이블은 모두 조절이 가능해서 상황에 따라 길이를 늘려 사용하고 있어요. 밝은 우드톤이라 약간 걱정했는데 집 분위기와도 잘 어울리고 음식물이 묻어도 깨끗하게 닦여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의자는 여러 개를 두어야 하니 깔끔한 색상을 골랐고 오래 앉아있어도 불편하지 않은 편안한 쉐입과 이동시 많이 무겁지 않은 제품으로 고르게 되었습니다.

계단실

2층으로 올라가기 위한 왼쪽 복도 끝 계단입니다. 계단에 있는 창문이 포인트! 환기와 채광에 아주 큰 역할을 해주는 창입니다.

계단을 올라가면 창 아래 빈백이 놓여있구요. 양쪽으로 방이 있습니다. 이 빈백은 영화 상영시에는 1층에 내려가곤 해요.

오렌지색 문으로 1층과는 또 다른 느낌의 문이에요.

다락방

제 방은 1층 방 두 개가 트여져 있는 집에서 가장 큰 방입니다. 벽으로 살짝 나누어져 있어요. 최대한 심플하고 깨끗하게 지내고 싶어 물건들이 많이 두지 않았답니다. 내년에 결혼하면 신혼방을 만들 생각으로 제가 가장 큰 방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생활 공간

첫 번째 방은 주로 휴식을 취하거나 책을 읽는 공간이에요. 겨울 옷을 보관하는 리빙 박스도 있습니다.


‘가볍게 살자!’라는 맘으로 이사하면서 옷들과 물건들을 정말 많이 정리했답니다.

간식을 만들어서 가지고 올라와 먹기도 하구요.


뒷마당

주방에서 뒷마당 나가는 두 개의 문이 있는데요. 밭에서 일하신 후 바로 들어갈 수도 있고, 작물들을 다듬거나 바로 주방으로 건내줄 수 있어요. 뒷마당에서는 주로 그릴로 바베큐를 해먹거나, 생선을 굽기도 해요.

손님들이 오시면 이렇게 상을 펴놓고 바베큐 파티를 하기도 합니다.

뒷마당 화단에 피어있는 금계국


뒷마당에서 바라본 뒷 땅과 밭

아직은 채 가꿔지지 않았지만 천막과 한 쪽으로는 밭을 더 가꾸실 예정입니다.

농약을 주지않고 친환경으로 밭을 가꾸셔서 잡초들도 같이 자라있네요. 농사 첫 해라 주로 콩 종류를 많이 심으셨어요.

마치며

사진을 찍고 글을 쓰며 집을 소개하자니 처음엔 어렵게 느껴졌는데 해보니 참 뿌듯하고 행복하네요. 다른 집처럼 완벽하게 멋지지 않아도 함께 있어 즐겁고 자연 속에서 쉬며 행복을 찾게 해주는, 저희 가족들에게는 정말 선물 같은 집이랍니다. 앞으로 가정을 꾸리며 다른 집들을 또 하나씩, 하나씩 지어갈 꿈을 꾸고 있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콘텐츠의 타임톡 서비스는
제공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