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부 트러블 돋보이게 하는 얼굴 홍조
- 피부 관리 방법 및 사용 제품을 점검할 것
거울을 보다보면 얼굴의 특정 부위가 붉어보일 때가 있다. ‘홍조’라 부르는 현상으로, 보통 뺨에 가장 흔히 나타난다. 이밖에 이마와 코에 홍조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홍조는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지만, 오랫동안 지속되며 외모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홍조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지, 적절한 관리법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한다.
얼굴 홍조는 무엇인가?
얼굴 홍조, 또는 안면 홍조라고도 불리는 이 현상은 얼굴 피부 아래 혈관이 확장돼 혈류가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얼굴 피부는 대체로 몸의 다른 피부에 비해 두께가 얇은 편이다. 이 때문에 혈류량이 약간만 변해도 쉽게 나타난다. 얼굴이 창백해지는 현상은 홍조와 반대로 혈관이 수축되면서 나타나는 것이지만, 얼굴 피부가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나타난다는 점은 같다.
얼굴이 붉게 보이는 것은 보통 ‘혈색이 좋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렇게만 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하지만 보통 홍조라 부르는 것은 혈색이 좋은 것 이상을 가리킨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흥분했을 때 혈관이 확장되고 혈류가 늘어나 발생하는 홍조는 일시적인 현상이다. 하지만 홍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경우는 외모에 영향을 미쳐 스트레스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먼저, 얼굴 피부에 이미 트러블이 있는 경우, 홍조로 인해 트러블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게 된다. 피부의 붉은 빛이 강해질 경우, 그 위에 있는 여드름이나 발진 등 트러블 자국이 대조 효과를 받아 더욱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한편, 홍조 자체가 피부에 자극을 주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홍조가 발생하면 피부가 민감해지게 되며, 이로 인해 기존에 있던 트러블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트러블이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혈관이 확장되면 피부가 붉게 보이는 것은 물론, 염증 반응이 촉진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본래 피부가 민감한 사람이라면 홍조로 인해 피부 자극이 더 심해질 수도 있다.
얼굴 홍조가 생기는 원인들
그렇다면 얼굴 홍조는 왜 생길까? 먼저 신체적으로 혈액 순환 또는 호르몬 수치에 변동이 생기는 것을 이유로 들 수 있다. 신진대사가 활발한 청소년기는 혈액 순환이 쉽게 촉진될 수 있기 때문에 홍조가 나타나는 일이 잦다. 여성의 경우 생리 주기나 임신 중에 호르몬 변동이 발생하며 홍조가 유발되기도 한다.
혹은 신체적으로 혈관이 확장될만한 원인이 발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운동으로 혈류가 활발해지는 경우, 더운 날씨나 온도가 높은 실내에 노출돼 혈관이 확장되는 경우, 뜨거운 음료를 마시는 경우 등이다. 이는 몸 안에서 발생한 열을 방출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현상이다.
한편, 정신적인 요인도 있다. 혈관이 확장되는 것은 보통 교감신경계가 자극을 받기 때문이다. 중요한 이슈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는 긴장감이 높아지기 때문에 혈액이 얼굴로 몰리기 쉽다. 이외에 수시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감을 느끼는 상황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는 신체에서 ‘투쟁-도피 반응’이 일어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겨울과 같은 특정 환경에서도 홍조가 나타나는 일이 잦다. 추운 날씨에 노출되면 혈관이 일시적으로 수축하게 되는데, 이때 실내로 들어가면서 다시 급격하게 확장되면 홍조가 나타날 수 있다.
얼굴 홍조, ‘만성’이 되지 않으려면
홍조가 만성이 되면 얼굴이 늘 붉은 기운을 띠게 된다. 이는 앞서 말했듯 피부의 트러블을 돋보이게 만들기 때문에 외모에 대한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홍조의 만성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극단적인 온도 변화를 피해야 한다. 더운 곳에서 시원한 곳으로 이동할 때, 반대로 추운 곳에서 따뜻한 곳으로 이동할 때 어느 정도 여유를 두고 천천히 이동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가장 큰 원인은 화장품과 피부 관리 제품이다. 어떤 것이 자신의 피부에 자극이 되는지 잘 모르는 사람들은 무심결에 아무 제품이나 사용하다가 피부에 지속적으로 자극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발생한 홍조가 만성이 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미 홍조가 만성이 됐다면, 관리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기본적으로 자외선 차단제는 일상처럼 사용하도록 하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기 위해 식사, 운동, 수면 습관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주 원인이 되는 화장품이나 피부 관리 제품을 총체적으로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무엇이 자신에게 적절한 제품인지 잘 모르겠다면, 피부과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전체적으로 점검해보는 것이 좋다. 스트레스를 받을 정도로 증상이 심하다면 치료 상담 및 의료적 접근을 하는 것도 권장된다. 스트레스가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고려하면 그 편이 훨씬 건강한 선택일 것이다.
Copyright © 본 콘텐츠는 카카오 운영지침을 준수하며, 저작권법에 따른 보호를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