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800만원에 보너스도 줬는데,1년만에 퇴사" 경력 사원 '배신' 아닌가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많은 IT기업이 인력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에 중소, 중견 IT기업들뿐 아니라 유니콘기업, 대기업들도 인력 직접 양성 및 신입사원으로 채용 전환에 나서는 분위기다.
초임도 6000만원대기업도 고연봉에 '허덕'대기업도 버거울 정도로 개발자 '몸값'은 최근 몇 년 새 급격히 증가했다.
대형 게임사, 인터넷 플랫폼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연봉을 인상하며 실력 있는 개발자는 초임 연봉부터 5000만~6000만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월급을 800만원에 보너스까지 주고 데려왔는데 딴 회사에서 월급 더 준다고 1년도 안 돼 퇴사하더라고요. 1년도 안 돼 퇴사하는 건 먹튀 아닌가요?”(A기업 인사담당자)
“신입사원이 경력보다 ‘내 회사’라는 애착이 더 커서 그런가 근속기간이 길어요. 경력 연봉 맞춰줄 돈으로 신입 하나 더 뽑아 교육하는 게 훨씬 낫죠.”(업계 관계자)
많은 IT기업이 인력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몸값’이 높아지면서 한편에선 인력 이탈이 심해지고 있다. 연봉을 높여 경력사원을 뽑아도 1~2년도 안 돼 타 회사로 이직하는 경우가 많다.
고연봉의 회사로 이직이 심해지면서 차라리 경력직 대신 신입을 더 채용해 ‘키우면서 일하겠다’는 회사들이 적지 않다.
중견 IT기업 C사는 5년 이상의 경력직보다는 오히려 신입이나 주니어 경력직 채용을 선호한다. 회사 관계자는 “인턴으로 시작해 채용되는 친구들은 회사 업무에 대한 이해도도 높을뿐더러 일을 배운다는 마음가짐이 커 오래 다니는 것 같다”고 그 이유를 털어놨다.
또 다른 중견 IT업체 D사도 경력 대신 신입 위주로 채용을 전환했다. 물론 이 회사들도 ‘일 잘하는 경력 개발자’에 대한 아쉬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치솟는 개발자 처우를 감당할 여력이 부족한 것이 문제다.
업계 관계자는 “업계 분위기에 맞춰 처음엔 우리도 올려줬지만 기껏 올려줘도 1~2년 만에 더 조건 좋은 회사로 이직하는 이들이 적지 않았다”며 “이들을 붙잡기 위해 언제까지 처우를 높일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럴 바에는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들을 교육시키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고 토로했다.
이에 중소, 중견 IT기업들뿐 아니라 유니콘기업, 대기업들도 인력 직접 양성 및 신입사원으로 채용 전환에 나서는 분위기다. 배달의민족은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을 도입했으며 최근 채용 연계 프로그램도 함께 운용 중이다. 국내 대표적 게임업체 넥슨도 채용형 신입 인턴 지원자를 모집하고 있다.
대기업도 버거울 정도로 개발자 ‘몸값’은 최근 몇 년 새 급격히 증가했다. 대형 게임사, 인터넷 플랫폼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연봉을 인상하며 실력 있는 개발자는 초임 연봉부터 5000만~6000만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카카오커머스는 신입 개발자들에게 1억원 상당의 스톡옵션을 약속했고, 토스는 입사 1년을 맞은 경력직 개발자들에게 1억원 상당의 스톡옵션을 제공하기도 했다. 올해에도 요기요가 우수 개발자 확보를 위해 신규 경력 입사자에게 직전 연봉 50%를 사이닝 보너스로 지급하겠다고 나서는 등 인재 모시기 전쟁은 현재진행형이다.
급기야 넷마블은 지난 1분기 인건비가 전년 동기 대비 430억원, 30% 이상 증가하며 119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카카오도 같은 기간 인건비가 43% 늘며 영업이익률이 1년 전보다 3%포인트 이상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개발자 연봉이 높다고 하니 갓 대학을 졸업한 신입들도 우리 같은 중소기업에 와서 연봉 5000만원을 부르더라”며 “대기업들도 인건비 지출에 부담이 적지 않다는데 우리 같은 회사는 숨통이 막힐 정도”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커리어테크 플랫폼 사람인이 국내 383개 기업을 대상으로 ‘IT인력 채용 어려움’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기업의 64.2%가 IT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65%, 중견기업의 64.4%가 어려움을 호소했다. 대기업도 41.7%가 쉽지 않다고 답했다.
rim@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만원→4천원” 넷플릭스, 일주일 ‘몰아보기 싼 요금’ 부활 어때요?
- 디즈니가 이번엔 ‘심청전’을?…이 뮤비 벌써 조회수 1400만 돌파
- 박수홍, 검찰 조사 받다 부친에 폭행 당해...병원 후송
- ‘편향적’ vs ‘사회 고발’…만화축제 금상 ‘윤석열차’ 전시 찬반 논란
- BTS 소유 '나인원한남' 전셋값 최고…전용 244㎡ 80억
- “벌써 14년” 최진실 추도식…딸 최준희"나랑 똑같이 생겼네"
- [영상] 각목으로 남의 차 박살내고 정신병원行…가해자 가족들은 “배 째라”
- “월급 800만원에 보너스도 줬는데,1년만에 퇴사” 경력 사원 ‘배신’ 아닌가요?
- BBC, 尹 발언 풍자...이준석 "BBC에 대응해야 할텐데"
- 장성규, 소속사서 억대 외제차 선물 받고 '함박웃음'…뭐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