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창업 '메카' KAIST, 4년간 20개사 상장...기업가치 10조 돌파

조회 942025. 4. 14. 수정

삼성에 인수된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수조원대 시총 기업도

우리나라 기술 창업의 '메카'로 자리잡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탄생한 상장사가 지난 4년 간 20개에 달하고 기업가치는 총 10조원이 넘는 것으로 14일 분석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 KAIST

기계공학과 오준호 석좌교수가 창업한 로봇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21년 2월 코스닥에 상장했다.

국내 최초로 이족보행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작년 말 삼성전자의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삼성의 로봇사업을 책임지는 핵심 계열사로 부상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가 개발한 이동형 양팔로봇. / KAIST 제공

2013년 설립된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KAIST 출신 6명이 의기투합해 만든 1세대 AI 기업이다.

암 검진과 치료 영역에서 AI가 적용된 초기 진단·맞춤형 치료 솔루션을 개발하는 루닛은 2022년 7월 코스닥에 상장했으며 시가총액이 1조 5000억원에 달한다.

루닛이 개발한 AI 영상 분석 솔루션. / KAIST 제공

기계공학과 공경철 교수가 2017년 창업한 스타트업 '엔젤로보틱스'는 의료·산업 현장에서 보행 재활치료, 근력 증강 연구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작년 3월 코스닥에 입성했으며 현재 시총은 4200억원 규모다.

이 외에도 작년 한해 동안 엔젤로보틱스와 토모큐브 등 KAIST 출신이 설립한 바이오·로봇 분야 스타트업 4개 사가 증시에 입성했다.

KAIST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KAIST 출신 창업 실적은 연 평균 110건에 달하며 기업가치는 10조원을 돌파했다. 또 2023년 말 기준 전체 KAIST 창업기업 수는 1914개, 총 자산규모 94조원, 총 매출 규모 36조원, 총고용 인원은 6만 1230명에 달한다.

KAIST는 교원 창업 심의, 총장 승인 절차 등의 단계를 폐지함으로써 창업 승인 절차를 간소화했다. 또 학생 창업의 경우 창업 휴학 가능 기간을 기존 4학기에서 무기한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업 환경을 개선했다.

또한 시제품을 제작해 주고 외부 전문가를 매칭해 제작비를 지원하는 '패스트 프로토타이핑'(Fast Prototyping) 등 창업 프로그램을 통해 평균 2년 걸리던 시제품 제작 기간을 6개월로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KAIST 이광형 총장. / KAIST
KAIST 구성원들이 창업을 통해 본인의 연구가 실현되는 것을 경험하며 보람을 느끼고,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한편, 이를 학교의 재정 자립으로 연결하는 선순환 구조의 시스템이 확립되어야 한다"
- 이광형 KAIST 총장 -
이 콘텐츠가 마음에 드셨다면?
이런 콘텐츠는 어때요?

최근에 본 콘텐츠와 구독한
채널을 분석하여 관련있는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려면?

채널탭에서 더 풍성하고 다양하게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