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발 전기차 가격 경쟁 다시 점화 f. 권순우 취재팀장

조회수 2024. 4. 29. 10:39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1. 샤오미의 전기차 "su7" 발표와 경쟁사들의 모바일폰 연결 전략

샤오미가 중국에서 전기차인 "su7"을 발표하면서 가격과 성능으로 논란이 있었다.
su7의 가격은 4천만 원으로, 1회 충전 주행 거리는 700km이다.
샤오미는 27분 만에 5만대 주문을 받았으며, 2025년까지 벤츠, BMW, 폭스바겐, 현대차 등과 경쟁할 계획이다.
샤오미의 전기차는 모바일폰과의 연결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중국의 다른 전기차 회사들도 모바일폰과의 연결을 강조하며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경쟁은 sdv(자율주행차량)의 플랫폼과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소비자들이 sdv에 대한 만족도가 명확하지 않으며, 연결된 생태계의 경험을 경쟁사들이 얼마나 제공할 수 있는지는 불확실하다.
중국 회사들을 통해 모바일폰과 자동차의 연결이 먼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자동차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테슬라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내년부터 sdv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2. 한국의 음료와 뷰티 산업의 해외 시장 진출

한국의 음료 시장은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많이 나와 경쟁이 심하다.
한국 음료의 수출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작년에는 전년 대비 11.5% 성장했다.
한국 음료의 수출 대상 국가 중 중국이 1위이며, 미국과 캄보디아, 베트남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국 음료 중 8도의 도시락, 밀키스, 아침의 살 등이 해외에서 인기가 많다.
한국의 뷰티 산업도 해외 시장에서 큰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K 컬처의 인기로 인해 한국 기업들의 해외 진출이 가능해졌다.
한국 뷰티 제품의 이커머스 침투율은 중국, 미국, 일본, 동남아시아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작은 기업들이 중소 브랜드로서의 경쟁력을 발휘하며 해외 시장에서 성공하고 있다.
구글과 유튜브는 사칭 광고에 대한 특단 조치를 취하고, 다른 플랫폼들도 사기 광고에 대한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한국 기업들은 자체 경쟁력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